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단짝 없이 지내는 여자 아이들, 되려 장점이 더 많은것 아닌가요?

단짝이 꼭 있어야 하고, 단짝을 안전기지로 학교 생활을 하는 아이보다 마음이나 여러 가지 활동에 있어서 제약이 없을것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단짝이 있어야 하는 이유와 장점이 따로 있는걸까요?!아이의 성향에 따라 다르겟지만, 어떤 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짝이 없이 지내는 여자 아이로 인해 걱정이 되겠습니다.

    단짝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배타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 사회적 확장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아이가 다양한 친구들과도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격려하고, 단짝 외에도 여러 관계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대로 단짝이 없는 아이가 반드시 외로운 것은 아니며, 다양한 친구들과 고르게 관계를 맺는 성향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아이의 성향에 따라 단짝의 존재가 긍정적일 수도 있고, 없어도 충분히 건강한 사회성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단짝이 있느냐 없느냐보다, 아이가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얼마나 안정감을 느끼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느냐입니다. 단짝은 그 과정에서 든든한 동반자가 되어줄 수 있는 존재이며, 아이의 성장을 지지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입니다. 부모는 아이의 관계 맺는 방식을 존중하면서,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열린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구가 없이 지내는 것이 꼭 좋은 것만은 아니고 그렇다 라고 해서 꼭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사회를 살아감에 있어서 사람은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 하면서 지내는 부분이 큽니다.

    사회 라는 울타리 안에서 다양한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라면

    일 적으로 힘든 부분이 많아집니다.

    그렇기에 원만한 사회생활을 지내기 위해서는 사람들과 소통은 필요성을 중요시 해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단짝이 있어야 하긴 보담도 다양한 사람들과 두루두루 소통하면서 지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단짝 친구는 아이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사회적 연습의 기회를 줍니다.

    함께 기뻐하고 다투며 조정하는 과정에서 공감력, 의사소통력, 관계 회복력이 자랍니다.

    단짝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사회성이 좁아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친구 관계로 넓히는 경험도 병행하는 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단짝이라는 게 명암이 있기는 하지만, 마냥 다 나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특히 단짝이라는 존재로 인해서 안정감과 심리적인 위로를 얻기도 하고,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고, 갈등을 겪으면서 사회성도 길러지기 대문에 다양한 장점이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단짝 없이 지내는 여자아이도 충분히 장점이 있습니다. 단짝이 없으면 다양한 친구들과 관계를 맺고, 스스로 선택하며 활동할 수 있는 자유가 커집니다. 반면 단짝이 있으면 정서적 안정과 안전기지 역할을 하며 어려운 상황에서 지원과 공감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