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이 저고도, 중고도, 고고도 3개층에서 생성되는 원인(이유)은 무엇인가요?
구름이 딱 한개층에서만 생겨야 할 것 같은데 즉 저고도, 중고도, 고고도의 3개층에서 생성되는 이유(원인)를 알고 싶습니다.
인터넷을 뒤져도 알 수가 없네요.. ㅠ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구름이 저고도, 중고도, 고고도의 3개층에서 생성되는 이유는 대기 중에서 구름이 형성되는 물리적 과정이 다양한 고도에서 발생하기 때문인데 저고도는 지표면에서 약 2km 이하의 고도이며 이 층에서는 대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지표면의 열에 의해 공기가 상승하면서 구름을 만들게 됩니다. 중고도는 약 2km에서 6km 사이의 고도를 의미하며 이 층에서는 공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고, 습도가 높아지면 구름이 생성합니다. 중고도에서 형성되는 구름은 주로 중층운과 같은 유형의 구름이 만들어지게 되지용~ 고고도는 6km 이상의 고도를 의미하며 이 층에서는 대기가 매우 차갑고, 수증기가 응결되면서 구름을 만들게 되며 권운, 권층운과 같은 구름이 여기서 만드렁지게 됩니다~ 구름은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입자로 변할 때 형성되게 되는데 공기가 상승하면 기압이 낮아져 공기가 팽창하고 냉각되고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에 도달하면 수증기가 응결하며 구름을 만들게 되는것이지요~ 이 상승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름의 생성 고도도 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각 고도에서 공기의 수분 함량이 다를 수 있으며, 특정 고도에서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면 그 고도에서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저고도에서는 해양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상승하며 구름을 형성할 수 있고, 중고도와 고고도에서는 대류나 다른 공기 흐름에 의해 운반된 수증기가 구름 형성을 유도할 수 있게 됩니다. 기압의 변화 역시 구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저고도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에서 구름이 형성되고, 중고도와 고고도에서는 낮은 기압에서 형성되게 되는 것이지요~ 기압의 차이로 인해 공기가 팽창하거나 압축되어 구름이 여러 고도에서 형성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