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9.26

대나무가 땅속 줄기라고들 얘기하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대나무가 땅속 줄기라고들 얘기하는데 왜 그런가요?

대나무의 줄기는 그 땅속 밖에 있는 딱딱하고 마디가 있는 것이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나무는 속이 비어있는형태이기때문에 나무보다는 풀에 가까운 식물입니다.

    대나무는 땅속에 뿌리줄기라고하는 근경이 크게 분포하여 여기저기 대나무밭이 형성되기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나무는 땅 속의 줄기가 자라면서 위로 올라오는 형태라서 땅속 줄기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나무는 땅속에 줄기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이것이 땅을 뚫고나와 만들어진 것으로 땅속줄기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나무는 볏과에 속한 풀의 일종 입니다. 즉 나무가 아니라 풀(초본식물) 종류에 속한다고 합니다. 식물학적으로 나무로 분류되려면 두 가지 조건 첫째, 단단한 부분(목질부)이 있을 것, 둘째 형성층이 있어 부피생장을 할 것 이 두 조건을 만족해야하는데 대나무는 첫번째 충족하지만 두번째를 충족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나무의 단단한 부분은 줄기로써 근경, 혹은 뿌리줄기라고 불리는 정교한 상태로 땅 밑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나무의 싹을 죽순(竹筍)이라고 하며 죽순을 감싼 잎을 죽피라고 한다.


    대나무의 줄기는 속이 비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마디라고 하는 것으로 나뉘어 있어서 마디와 마디사이의 경계에 판이 있다.


    대나무의 꽃은 잘 피지 않는 편이다. 줄이 피는 시기도 불균형해서 최대 100년이나 기다려야 꽃이 피는 경우도 있다. 식물에게 개화란 사실 쇠퇴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대나무는 줄기가 거의 시들어갈 무렵에야 꽃을 피운다.[5] 또 같은 뿌리에서 나온 줄기는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 같은 해에 꽃을 피운다.[5] 그렇기 때문에 어느 날 갑자기 대나무 숲 전체가 사라져버리기도 하며, 같은 뿌리에서 나온 줄기의 일부를 떼어서 멀리 떨어진 곳에 심으면 아무리 먼 곳이라도 원래 줄기와 같은 날 꽃을 피운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나무의 줄기는 땅속줄기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대나무의 생장 방식 때문입니다. 대나무는 땅속줄기를 통해 번식하고 이 땅속줄기가 땅 위로 올라와 줄기를 형성합니다. 한마디로 대나무의 줄기는 땅속에서 시작되어 땅 위로 올라오는 것이지 땅 위에서부터 자라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땅속줄기라고 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