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직립보행을 통해 얻게 된 불리함에는 무엇이 있나요?
인간은 직립보행을 하면서 양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로써 지구를 지배하게 되었으나 직립보행이 장점만이 있지는 않을텐데 어턴 단점들이 있나요?
직리포행이 가져다 준 불편함, 불리함에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간의 직립보행(이족보행)은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몇 가지 불리한 점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직립보행을 하면서 척추가 S자 형태로 진화했지만, 이는 요통, 디스크 질환(허리디스크, 목디스크)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는 체중을 지탱하는 부담이 커져서, 나이가 들수록 퇴행성 척추질환이 흔합니다. 특히 네발로 걷는 동물과 달리, 인간의 다리는 체중을 전적으로 지탱해야 하는데요, 무릎, 발목, 고관절(엉덩이 관절)에 많은 하중이 가해져 관절염, 퇴행성 질환이 쉽게 발생합니다. 또한 네발로 뛰는 동물들(예: 치타, 늑대, 말)에 비해 인간의 달리기 속도는 느린데요, 사냥이나 도망칠 때 단점이 될 수 있지만, 대신 인간은 지구력(지속적인 달리기 능력)을 발전시켜 극복했습니다. 이외에도 직립보행으로 인해 중력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되었습니다. 하체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올리는 것이 어려워 하지정맥류(정맥이 부풀어오르는 질환)나 부종(다리가 붓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또한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기립성 저혈압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장점을 얻긴 했지만, 불리함도 상당히 많이 얻었습니다.
가장 큰 부분은 신체적 문제점입니다.
직립 자세는 척추에 더 많은 부담을 주어 허리 통증, 디스크 질환 등의 발생 위험을 높이고 골반과 다리에 가해지는 체중 부담을 증가시켜 관절염, 고관절 질환 등의 발생 가능성을 높입니다. 또한 직립 자세로 인해 골반이 좁아지면서 출산 과정이 더욱 어려워졌습니다. 그리고 직립 자세는 다리 정맥의 혈액 순환을 어렵게 하여 정맥류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게다가 외부환경에도 대응도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두 발로만 걷기 때문에 넘어질 위험이 네 발로 걷는 동물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지면과 가까웠던 몸이 위로 올라가면서 추위와 더위에 더 취약해졌습니다. 또한 직립 자세는 몸을 숨기기 어렵게 만들어 천적에게 더 쉽게 노출되게 되었습니다.
직립보행으로 인해 인간은 허리 통증, 디스크 질환 등 척추 질환에 취약해졌습니다. 또한,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에 부담이 커져 관절염 발생 위험도 높아졌습니다. 직립보행은 출산 시 골반 통과가 어려워지면서 난산의 위험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