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살 아들녀석이 평소때 쓰는 단어들이 안좋은 단어들을 쓰고 있더라구여.
8살 아들녀석이 평소때 쓰는 단어들이 안좋은 단어들을 쓰고 있더라구여.
그런 단어 쓰지 말라고 뭐라해도 고쳐지지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8세 아이가 생활중에 나쁜 말을 할 경우엔 즉시 즉시 지적 하셔야 빠른시일내에 고쳐 집니다.
언젠가는 괜찮을런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으로 지나치시면 고치기가 힘들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고운말쓰기 마일리지 적립'을 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아이 스스로 하루를 지내면서 비속어나 욕설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자기 스스로에게 스티커를 하나씩 붙여주는 겁니다.
전적으로 아이와 신뢰관계를 형성할 때 가능하겠습니다.
특정 마일리지를 적립했을 때 아이가 원하는 보상을 해주는 것입니다.
아이와 의논해서 해보는 것도 괜찮아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을 하셔서 나쁜단어들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주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어를 쓸때 하나씩기록해보고안좋은단어를알려주고 아이가볼수있게해주세요
아이가이를보고지속적으로인지하고수정하게하면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성인에 비해서 단어의 선택의 폭이 넓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자신이 알고있는 단어를 위주로 표현을 하곤합니다
기존에 안좋은 단어대신에 그것을 표현할만한 대체 단어를 알려주시고 사용하게 하면 도움이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언어 습관은 쉽게 고쳐지지 않습니다
계속적으로 반복적으로 바른 언어를 쓸 수 있도록 부모가 옆에서 조언을 해줘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학교에 가게 되면 또래 친구들의 영향을 받아서 비속어를 쓰기도 합니다
비속어를 쓴다고 혼을 내거나 다그치기 보다는 바른 언어 교정을 시켜 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욕설이나 좋지 않은 단어를 사용하면
혼내셔서 이러한 단어들에 대하여 제한을 두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중 자신도 모르게 사용하는 언어들은
대부분 주변에서 배우게 되는 언어로써 아이 언어사용습관을 올바르게
정착하려면 영상매체 등의 시청에 있어 부정적인 것은 제한하시는 등의
방법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안 좋은 단어를 쓴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그 단어를 말하는 것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시면서 왜 지금 쓴 단어가 옳지 않은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안 좋은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고 표현하는지도 알려주시면서 이 상황에서는 안 좋은 단어 대신 알맞은 단어를 써야 함이 맞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면서 좋은 말, 고운 말을 알려주시어 상황에 맞는 표현법을 알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