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오예에에
오예에에24.01.17

소나무는 왜 겨울에 잎이 안떨어지죠?

일반적인 다른 나무들을 보면 겨울에는 이파리가 다떨어져서 앙상한데


소나무는 하나도 안떨어지고 여전히 똑같이 초록색을 유지하더라고요ㄷㄷ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무는

    침엽수 에 속합니다.

    침엽수는 잎이 바늘 모양으로 생겼으며

    잎이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겨울을 나기 때문에

    상록수 라고도 불립니다.

    잎이 두껍고 왁스층이 발달 되어 있

    어 수분 증발이 적습니다.

    엽록소 함량이 높아 겨울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세포벽에 항결빙 단백질 이 존재하여

    얼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합니다.

    소나무는 이러한 특성 덕분에

    겨울에도 잎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겨울에도 푸른 모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소나무 이외에도 전나무 및

    잣나무와 측백나무 등도

    침엽수에 속하여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무는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소나무는 다른 나무들과는 달리 식물의 근경향이 아닌 근경향이기 때문에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근경향이란 식물의 생장 방식을 말하는데 소나무는 근경향이기 때문에 잎이 떨어지지 않고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초록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나무는 겨울에도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잎의 표면적을 줄이는 방법을 갖고 있습니다. 겨울에는 물이 얼어서 뿌리로부터 잎까지 올라가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소나무는 잎의 표면적을 줄여서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겨울에도 충분한 물을 공급받아 생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나무는 겨울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잎의 구조를 바꾸는 방법을 갖고 있습니다. 겨울에는 태양의 각도가 낮아져서 빛을 받는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소나무는 잎의 구조를 바꿔서 빛을 더 효율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겨울에도 광합성을 할 수 있어서 생존에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잎의 구조: 소나무와 같은 상록수의 잎은 더욱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은 겨울 동안 추위와 건조에 대처하기 위해 두꺼운 표피층과 적은 수분 손실을 위한 작은 스토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수분 보존: 상록수는 겨울 동안 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존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땅에 있는 뿌리로부터 수분을 흡수하고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잎의 스토마를 닫습니다. 이로써 수분 손실이 최소화되며, 잎이 떨어지지 않아도 적은 수분으로 겨울을 버텨낼 수 있습니다.

    3. 광합성: 상록수는 겨울에도 광합성을 계속합니다. 겨울에도 일부 빛을 받아들여 엽록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것은 나무가 겨울 동안 생존할 수 있도록 에너지 공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무의 잎은 바늘처럼 가는 침엽수 인데요

    침엽수는 표면적이 작아 수분을 적게 소모한다는 것입니다. 표면적이 작으면 증산작용에 의해 필요한 물의 양도 적어지기 때문에 건조한 겨울에 수분 손실 적고 에너지 손실도 적어 파란 나뭇잎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나무는 잎사귀가 바늘형태로 존재하고 기공을통한 수분손실이 적기때문에, 다른 활엽수들처럼 소나무는 떨켜를 막아 잎사귀에 수분공급을 막는 작용이 일어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