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발이 멍청하다는 편견은 어디서 나온 것인가요?
한국에서는 그런 인식이 없지만 외국에서는 금발이 멍청하다는 인식이 꽤 널리 퍼져있었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도대체 이런 인식은 어디사 나온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금발은 멍청하다? " 음... 그게 어떤분 쓴건지는모르겠지만 이건 어디로보나전혀 근거없는소리같은데요?
왜 금발이멍청하다는걸까요!?
머리에색깔에따라 뇌연령이 다르다는뜻같은데..그거는 전혀 설득력도없고..현실성도없네요^^
머리에색깔에따라 똑똑해지고 멍청해지는거라면그게 뉴스를통해 지금까지사람들에게
안알려젔을리가없잖아요..
그리고 금발하면떠오르는 대표적인연애인두명이생각나는데요..
포미닛-현아 & 노홍철(지금은 금발이아니지만)
두분다 그자리에오르기까지힘든시간을 거치셨던분들인데
금발이멍청이라면 지금에 현아와 노홍철은 없었겠죠..
제가생각하기에는 이것은단순한 몇몇사람들에대한 잘못된생각이고 <왼손잡이는 장애인>
이랑같은 몇몇사람들에 편견입니다.. 그러니까 너무 집착하거나 깊게파고들려하지마세요..^^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금발이 멍청하다는 인식은 일부 유럽 국가에서 널리 퍼져있었습니다. 이러한 인식은 유럽에서 많은 인구를 차지하고 있는 백인 중에서는 흔치 않은 특징이기 때문에 생겨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이러한 인식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찰이 출발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당시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형이상학"에서, 흰 머리와 검은 머리를 가진 인간들은 지성이 있는 반면, 금발인 인간들은 욕심이 많아 멍청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후 이러한 주장은 다양한 이유로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러한 인식이 매우 부당하다는 것이 인식되고 있으며, 금발인 사람들이나 그들의 특징을 비하하는 발언은 인종차별이나 혐오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금발이 멍청하다는 인식은 대부분은 유럽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유럽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과 연관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는 금발은 북유럽 지방에 거주하는 북유럽인들의 특징 중 하나였습니다. 이 지역에는 낮은 온도와 일조 부족 등의 환경적인 이유로 비교적 피부가 흰 피부색을 띄는 사람들이 많았고, 그 중에서도 금발인 비율이 높았습니다. 그러나 당시 유럽에서는 로마 제국이 붕괴되면서 교육 및 문화적인 부분에서 미숙한 기간이 있었고, 이로 인해 금발인 사람들이 시민권 및 교육적인 기회를 덜 받았던 것이 인식의 한 부분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러한 인식은 나중에는 유럽 이외의 지역으로도 전파되었고, 영화, 드라마, 만화 등에서도 종종 나타나는 스테레오 타입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사실적이지 않으며, 과학적으로도 입증되지 않은 것이므로,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능력과 인격을 개별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발이 멍청하다는 편견을 갖게된 것은 18세기 후반 당시 로잘리 뒤테라는 고급 창부로 인해 유럽 전역이 떠들썩했습니다.
빼어난 미모와 넘치는 지성과 발레 무용수를 할 정도인 그녀는 어느날 프랑스 왕실의 교사를 맡아달라는 의뢰가 들어오나 궁궐의 권세와 금은보화에 미혹되어 유럽의 귀족들과 왕족들을 상대로 하는 몸 파는 여자가 되었고, 이때 루이 16세의 동생도 포함되자 유럽 전역은 발칵 뒤집혔습니다.
밤새 나누는 은밀한 애정행각의 현장에서 느닷없는 박장대소로 인해 상대방에게 들키고, 다른 사람들과 비밀로 나눴던 이야기들을 매번 취한 상태에서 모두 털어 놓고, 공식적인 행사나 모임에서 아무런 생각 없이 우스꽝스러운 모습들을 한 채로 등장하는 등 이해할수 없는 기이한 행동을 자주 벌이자 당시의 역가들은 이런 그녀를 일컬어 멍청한 금발이라고 묘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