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수리무
수리무

조선시대에 후궁의 아들이 왕이 되면 후궁은 어떻게 되나요?

중드를 보니까 청나라에서 후궁의 아들이 황제가 되면 그 후궁도 황태후가 되고 또 황후도 황태후가 되어서 결국 황태후가 두 명이던데 조선시대에도

중전과 같이 대비가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후궁의 아들이 왕에 즉위하더라도 대비가 될 수 없습니다. 조선의 왕은 27명입니다. 이들 가운데 실제 왕비의 소생은 15명이었습니다. 조선의 실제 왕비는 3명의 폐비(성종의 폐비 윤씨, 연산군의 폐비 신씨, 광해군의 폐비 류씨)를 포함해 41명이었는데, 이들 중 13명만이 왕을 낳았으며 나머지는 왕을 낳지 못했습니다. 유일하게 후궁에서 왕비가 되었으나 폐비된 인물은 장희빈이 있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후궁의 아들이 왕이 되더라도 후궁은 대비가 될 수 없었으며 중전이 대비가 되며 후궁의 아들, 딸이라도 모든 왕의 아들, 딸들은 중전을 어머니로 받들어야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 후궁의 아들이 왕이된다면

      자연스럽게 왕을 배출한 후궁 또한

      대비가 되는 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