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귀여운대벌래87
귀여운대벌래87

진짜 10~20년뒤에 농촌이 사라질거같은데 정책이 필요한거아닌가요?

지금 시골에 내려가면 거의다 70~80대 어르신들만계시는데

젊은층이있어봐야 한마을에 한둘있을까말까고, 농사도 그나마 젊은 50~60대분들이 몰아서 짓고있는데 이러다가 시골망하면 수입물품들 가격들은 올라가고 경제가 더 침체되지않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발표한 농촌소멸 대응 추진전략의 핵심은 농촌에서의 창업, 워케이션, 4도3촌 등의 수요 증가를 바탕으로 농촌공간을 사람·기업·자원·사회서비스 등이 융·복합되는 기회의 장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전략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농촌이 될 수 있도록 일자리 및 경제 활성화, 생활인구와 관계인구 창출, 농촌 삶의 질 혁신 등 3대 전략을 통해 창의적 공간, 스마트 공간, 네트워크 공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세부정책을 시행하겠다고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농촌을 살리기 위한 정부의 여러 정책도 있고 지방정부 주도하에 여러 방법을 쓰고 있지만

      이 정책들이 효력을 발휘하고 있진 못합니다

    • 우회하여 완전 귀농이 아닌 3일은 농촌 4일은 도시에 생활하도록 하는 별장형으로 시골에 집을 두게하여

      이에 대한 규제를 완전히 풀어줬습니다

    • 또한 움막에 대한 규제도 향후 풀어줄 것으로 예상되며 농촌이 죽지 않게 노력은 하고 있지만

      농촌의 최소 50%는 사라질 전망인 것은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소멸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농업 기술 등으로 농업혁신, 지역 특산물 등을 활용한 지역기업 육성, 생활 인프라 확충 및 문화복지시설 확대 등의 정책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농촌의 지속 가능성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입니다.

    농촌이 사라질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타당합니다.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정책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 유입 정책: 농촌 지역에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농촌에서 창업을 원하는 청년들에게 자금을 지원하거나, 농업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농업의 매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농업 지원 정책: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혁신, 스마트 농업 기술 도입, 농업 연구 및 개발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생활 인프라 개선: 의료, 교육, 교통 등의 생활 인프라를 개선하여 농촌 지역에서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농촌 지역의 매력을 높이고, 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 유치: 농업 이외의 산업을 유치하여 농촌 경제를 다변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농촌 관광, 친환경 에너지, 수공예 산업 등 다양한 산업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정책적 지원과 협력: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하여 종합적인 농촌 발전 계획을 세우고,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 지역에서 인구 고령화와 농업 인력 부족 문제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젊은 세대가 시골에 남아 활동하고 농업을 유지하는 것은 지역사회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농업 생산량이 감소하면 수입물품의 가격이 상승할 수 있고, 지역 경제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역사회가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젊은 세대가 시골에 남아 활동할 수 있는 환경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현지 정부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10-20년 뒤에 농촌이 사라질 수 있는 것에 대한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정부에서는 그런 일들을 대비해서 귀농하는 이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는 등으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시골에 젊은 사람들이 적어지면 농사를 짓는 사람이 줄어듭니다. 그래서 농산물 생산이 줄어들면, 우리가 먹는 식료품의 가격이 오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수입에 의존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시골을 살리기 위해 더 많은 젊은 사람들이 농촌으로 돌아가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