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채채파덜
채채파덜

저출산이 되고 있는데 문제점이 무엇인가요

요즘 정말 젊은 사람 및 아기들이 동네 주변에 많이 보이지 않더라구요 저출산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거 같은데 어떤게 문제가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개인주의가 팽배해지는 사회이다보니

    결혼을 하지 않고/ 아이를 낳지 않으려고 하는 젊은이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개인의 자기계발도 중요하지만 가족을 이뤄서 살아가는 것이 가치롭다는 의식의 변화가 절실해 보입니다.

    이와 더불어 출산을 장려하는 정책도 뒷받침되어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 입니다.

    저출산이 되고 있는 문제점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젊은 청년 층의 가치관 변화를 지적하고 있는데요. 최근 들어서는 젊은 청년 층의 대다수가 결혼이나 출산에 대해서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라는 점에 크게 동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가치관이 출산율 감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요즘에는 말씀하신대로 저출산이 점점 더 심각해주시고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의 말을 보면 이는 전쟁이 나도 나올 수 없는 수치라고 합니다. 그만큼 끔찍하게 출산율이 많이 내려가 있는 상태입니다. 이는 지금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현재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밑에 받쳐주는 인구가 점점 더 줄어가면서 나라가 제대로 굴러가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따라서 다양한 부문에서의 붕괴가 예상됩니다. 그렇게 되면서 산업구조가 무너지면서 국가가 버틸 수 있을지 없을지 장담을 하지 못할것 같습니다. 따라서 국가에서 제대로 된 정책이 나와야 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일단 주거가 해결되지 않는 점이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 아이를 키우기 좋은 환경의 아파트나 주거단지는 평범한 직장인이 근로소득으로 벌어서 마련할 수 없는 수준으로 와 있기 때문입니다. 또 핵가족화 되면서 아이를 돌봐줄 수 있는 시스템이 직계가족에 한정되면서 아이를 키우는 데 있어 부담을 느끼게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출산시 주거비 지원이나 저금리 대출한도를 늘려주고, 정부 차원에서 아이 돌봄 서비스가 확대되고, 또 부모의 근로시간이 줄어든다면 개선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저출산의 주요 문제는 경제적 부담과 여성의 사회적 경력과 가정 책임 사이의 균형 문제입니다. 경제적으로 아이를 키우는 비용이 높아지면서 출산을 주저하게 되고, 여성들이 직업과 가정 책임을 균형있게 조절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출산을 하고싶어하지 않은 요인이라고 볼 수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요즘 현대사회에서는 결혼에 대한 인식이 많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하나만 낳거나 아예 아이는 낳지 않고 부부간의 생활을 즐긴다거나 혹은 결혼자체를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러다 보니 저출산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한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더라고 양육비용, 교육비, 주거비용등 경제적인 부담이 클뿐아니라 출산후 자녀를 키우고 직업을 다시 가지려고 해도 아이를 돌봐줄수있는 환경에 대한 대책이 부족하기 때문에 선뜻 아이를 낳을 엄두를 못내고 있다보니 현재 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출산 문제가 지속이 되면 고령화인구가 증가하게 되며 사회복지 부담이 커지고 노동력부족이 발생하게 되면서 경제성장에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결국 인구가 감소되면 나라가 소멸될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며 출산을 지원하는 정책과 제도를 강화하여 저출산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저출산은 아이들 수가 감소하므로 나라의 경제를 책임질수 있는 인구가 점점 줄어드른겁니다 그리고 세금도 낼수있는 인구가 적어지니 세금액수도 점점 많아져서 기본적으로 본인에게 돌아오는 돈이 적습니다. 그리고 노령층이 많아져서 이들 연금으로 나가는 돈을 내야하니 저출산이 지속되면 모두에게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무래도 저출산이 지금보다 더 심화되게되면 추후20-30년후에 우리나라를 위해서 일을 할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심각할 정도로 감소하게되어 우리나라가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잃어버린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저출산이란 인구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출산 및 출생률이 저하되며 인구의 증가 속도가 둔화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저출산 문제점으로는 사회.경제적 원인, 정부복지정책, 여성 사회참여 확대, 가족체계 변화 등이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우리나라 저출산은 여성의 고학력과 경제활동에 있다고 해요.

    그외에도 아동정책과 교육정책, 그리고 먹고사는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인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