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족 탄화수소에서 지방족이 기름일까요?
탄화수소를 분류할 때, 지방족과 방향족으로 나눕니다. 여기서 지방족이나 지방족 화합물은 기름을 뜻하는 지방을 말하는 것일까요? 백과사전에서는 성의없이 비방향족이라고 하네요.
네, 질문해주신 지방족(aliphatic)이라는 말 때문에 흔히 지방(fat)에서 온 것 아니냐고 오해하기 쉬운데, 화학적으로는 ‘기름’이라는 의미의 지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습니다. 19세기 화학자들이 기름에서 얻어지는 여러 사슬형 탄화수소를 묶어 부르기 위해 aliphatic이라는 용어를 쓴 것이 지금까지 이어진 것인데요, 따라서 어원적으로는 ‘기름’과 관계가 있지만, 화학적 의미에서의 ‘지방족’은 단순히 방향족이 아닌, 사슬형 탄화수소 계열 전체를 가리키는 용어로 굳어졌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자면 '지방족'은 방향족 고리 구조가 없는 탄화수소를 말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곧은 사슬형, 가지형, 고리형의 알케인까지 포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저도 학생때 이부분이 참 궁금했습니다. 대학생때 일반 화학, 생물학을 같은 시간에 배우다 보니 용어가 헷갈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실제로 질문을 해본적이 있었고 지방은 알고계신 기름에서 유래한 지방이 맞습니다. 사실 정확한 뜻은 방향족이 아닌 비방향족 물질이 지방족입니다.
최초의 지방족 탄화수소를 발견했던 학자들이 동물성, 식물성 기름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유기물질들이 사슬 구조를 가지고 있었기에 지방족이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벤젠 고리를 분석하고 난 이후에는 벤젠 고리를 가진 화합물을 방향족이라 정의 합니다. 지방족은 이러한 벤젠고리를 가지지 않은 탄화수소들을 칭하는 말로, 정확하게는 비방향족(지방족) 이라 부르는게 맞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지방족이라는 말이 처음 들으면 마치 지방과 관련된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기름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고, 어원과 구조적 특성에서 비롯된 용어입니다.
초기 유기화학자들이 기름에서 추출한 화합물들을 연구하면서, 고리 구조가 없는 탄화수소를 지방족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름은 기름에서 유래했지만, 지방과는 화학적으로 다른 개념입니다. 지방족 탄화수소는 고리 구조가 없거나 방향족 고리가 없는 탄화수소를 말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