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추석같은 경우에는 조상님들에게 제사를 지내는데요 보통 몇촌까지 함께 지내나요
물론 가정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명절이나 제사때 친척들이
모여서 제사를 지내는데요 그런데 명절때는 보통 몇촌까지 제사를 지내는가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조상님께서 돌아가신 날 후손들이 모여서 추모를 하는 것은 제사를 지낸다 라고 하고, 추석이나 설날의 명절에 조상님께 인사드리는 것은 차례를 지낸다 라고 표현합니다.
몇촌까지 모이느냐는 집안마다 후손들이 어디까지 이어졌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보통 사촌까지 모일때가 있고 사촌들이 결혼하여 2세를 보았다면 6촌까지 모이기도 합니다.
질문처럼 집안 사정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보통 4촌까지 만 제사를 함께 지냅니다. 추석 조상 제사는 주로 아버지를 기준으로 아버지 형제 자녀들이 함께 모여 제사 지내기 때문에 4촌까지 인거 같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는 6촌 까지 큰 집에 모여서 차례를 지냈었는데, 지금은 4촌까지만 모여서 같이 차례를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제 사촌도 곧 결혼을 하니 그것도 따로 떨어져 나갈 것 같습니다.
글쎄요?? 집안마다 다를수가있습니다~똑같을수는없지요 가족 사촌 육촌지내는 집안도 있고 간단히 집안도 있구요~상황에 따라 명절 전에 성묘 하는 집안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청렴한텐렉240입니다
가족의 상황에따라 다르겠지만
저희는 사촌까지 와서 같이 지냅니다
가족끼리의 상황에따라 돈만 보내는곳도 있어요
제사 자체는 보통 몇대까지 모시느냐에 따라 모이는 촌수가 다릅니다. 직계할아버지만이면 4촌으로 되지만 그 이상일경우 5촌, 6촌 계속 확장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