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꾸루꾸루꾸뿌
꾸루꾸루꾸뿌

결혼식 안가더라도 3만원은 축의금 넘 적나요?

요즘 결혼식 식대가 너무 비싸서 가고 10 안가고 5 이게 기본이 된 것 같더라고요. 식장 안가고 청모도 안하고 모청만 받았을 경우 안가고 3만원만 보내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반듯한거위174
    반듯한거위174

    축의금은 금액도 중요하지만 내가 살아가는 형편이 중요하죠! 절대로 무리하지는 마셔요! 주변에 많은 사람들이 결혼시즌이 되면 축의금으로 고민을 하게됩니다~~

  • 그냥 도장찍는다는 의미라면 3만원 충분합니다.

    안 주는 것보단 훨씬 나은 선택이에요.

    사람들 다 사정 있겠거니 하고 고마워할겁니다 일반적으로 말이지요

  • 안녕하세요. 결혼식 안가더라도 3만원은 충분한것같습니다. 결혼식에 밥을먹고가는것도아니고 그냥 3만원을 축의금으로 주는것은 받는사람도 충분히 고마워할거에요

  •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다면 아예 안주거나 5만원 정도가 괜찮아 보입니다. 3만원은 뭔가 줘도 욕먹을것 같고 안하자니 이상한 금액 같습니다. 

    요즘 식대가 10만원 정도 내외로 하다보니 보통 10만원을 하는데 참석하지 않는 경우 5만원 정도 하는 것 같습니다. 요즘 3만원은 잘 안하는 것같으니 할거면 5만원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가면 3만도 충분합니다

    그냥 축하해주는것만 해도 고마워요

    그리고 온사람도 여유없으면 3만내도 되요 그냥 와줘서 축하해주는것만해도 고맙더라고요

  • 식장을 안가고 청모도 안하더라도 친한 사이라면 10만원 하는것이 맞아 보이나 친한 것이 아니라면 5만원도 충분한 것 같아요. 다만, 아예 안가고 3만원 하는것도 친분에 따라 다르겠지만 만약 회사 직장 동료거나 진짜 아예 안친하면 안하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돈이라는 것이 액수를 떠나 사실 받았을 때 기분이 어떤가 일텐데 차라리 안했으면 안했지 3만원은 짜치는것 같기도 하고 친하면 10이상이 맞는것 같고 안친하면 5만원 정도 그것도 아니다 싶으면 안하는것이 낫지 않을까요.

  • 좀 애매한듯 합니다 어떤 사이인지는 모르겠짐나 보통은 안가고 모바일만 받게 되면 그래도 5만원은 내더라구요! 어떤 사이인지가 중요한듯해요

  • 글쎄요? 요즈음 축의금도 상부상조가 되었어요~ 친분이 있다면 3만원은 적은것같네요 하고도 욕을 먹을수있을것같네요 못해도 5만원은~

  • 안녕하세요.

    결혼식 축의금은 본인과 친분 정도에

    따라 금액의 차이가 있을수 있는데

    본인만의 기준을 가지고 계신게

    좋습니다.

    요즈음 3만원은 조금 적은편에

    속하는 만큼

    축의금을 내려면 5만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참석시 10만원

    미참석시 5만원을 기준으로 친분에

    따라 달리 하고 있습니다.

  • 내가 좋아하는 라면은 너구리입니다.결혼식을 안가도 3만원은 적기는 합니다.아는분이라면 그래도 5만원은 하셔야 그나마 욕은 안먹을것같습니다.시대가 변해서 3만원은 그렇기는 합니다.

  • 결혼식, 장례식 여기네 부조를 하는 금액이 참 어렵더라고요. 내 경제적 상황도 생각을 해주어야 하는데 상대방은 그렇지 않고 자기 기준에서만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이럴깬 대세에 따라야 향후 별탈이 없는것 같습니다. 아주 안 볼 사이가 아니라면 남들과 보조는 맞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현재 물가가 많이 올라서 식장에 안가더라도 3만원은 적은편에 속합니다.

    상대와의 친분에 따라 틀려지겠지만 3만원이라면 그리 친한 관계가 아니라 형식적이라도 보낼수밖에 없을경우 그럴거 같네됴

  •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3만원을 내고 싶으면 내셔도 돼지만 안가시더라도 지인이면 5만원 이상은 내야 괜찮을꺼 같구요 모마일 청첩장을 받았지만 친하면 주는게 맞는거 같네요

  • 어떤 관계인지가 중요할것 같습니다.

    매일 바로 옆에서 봐야할 직장 동료라던가 진짜 친한 친구라면 좀 적은거 같고요.

    같은 회사라도 별로 볼 일 없는 사람이거나 별로 친하지도 않은데 청첩장만 보낸 친구라면 3만원도 많다고 생각됩니다.

  • 결혼식 축의금은 꼭 참석 여부와 상관없이 정성껏 보내는 게 예의죠~

    3만원도 충분히 괜찮은 금액이고 꼭 많은 돈이 아니더라도 마음이 중요하니까요!!

    참석 못하는 경우에는 작은 금액이라도 축하의 마음을 전하는 게 좋아요!!

  • 결혼식 축의금으로 식장에 가지 않더라도 3만원은 좀 적은듯 합니다.

    요즘 최소 5만원은 하는 시대입니다.

    어렵더라도 5만원은 해야 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친척 관계 아니고, 친한 사이도 아니고, 그냥 회사에서 형식적인 사이라면 3만원이면 괜찮습니다.

    식장에도 안 가고 밥도 안 먹고 3만원이면, 상대방도 그 정도면 이해할 것 같네요.

  • 결혼식에 안 가더라도 3만원은 다소 적게 느껴질수 있습니다. 요즘 물가가 많이 올라서 3만원을 하느니 안하는게나을수 있습니다. 불참시 일반적으로 5만원 정도가 적당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