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형의 일종인 사약형이 내려져서 사약을 복용했으나 만약 사망에 이르지 않으면 어찌되는가?
조선 시대
형벌의 시행에 있어서
태형이든 팽형이든 교형이든
그리고 참수형 등 이 있었겠으나
대략적으로
고위 관직이나 왕족의 형벌에 있어서
극형에 처해야 할 경우는
군왕이 사약을 내려 처리되는 방식을 취했던 것으로 아는데요
그나마 참수가 아닌
사약의 경우에 명예를 존중하는 사형의 일종으로 취급 된 걸로 압니다
다만 사약도 아주 빨리 사망에 이르는 약과
아주 고통스럽게 오래되록 있다가 사망시키는 종류가 있었다하는데
만약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약의 독을 몸에서 해독하면서
결국 사망에 이르지 않을 경우는
어떻게 집행이 처리 되었었나요?
역사적으로 그런 사료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사약을 마시고도 죽지 않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역사적으로 몇 가지 가능성과 대응이 존재했습니다.
우선 사약을 마시고도 죽지 않으면, 보통 다시 사약을 주거나 다른 방식(참수 등)으로 처형을 이어갔습니다. 사약은 ‘은혜로운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기에, 실패하면 그것마저도 거절당하는 수치가 될 수 있었죠.
일부 사례에서는 몰래 사약을 토해내거나 복용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어요. 이런 경우에는 관리들이 강제로 먹이거나, 고문 등을 통해 억지로 복용하게 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실록 등에 보면 사약을 마신 후에도 죽지 않아서 다시 조치한 사례가 나옵니다. 예를 들어 연산군 때의 기록 중 일부 죄인이 사약을 마신 후 버티자 칼로 찔러 죽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사약형은 조선시대 왕족이나 고위 관료 등 신분이 높은 사람에게 명예를 지켜주기 위해 내려진 극형입니다. 즉 가족들이 시신이라도 수거할 수 있도록 권위를 존중한 형벌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약을 복용하면 사망에 이르지만 독성이 강해도 즉각적으로 죽지 않는 사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약을 복용하고도 사망하지 않을 경우는 추가로 독주를 제공하거나 자결을 종용하기도 합니다. 즉 목을 매게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반드시 사형을 집행했습니다. 예를들어 16세기 문인 임형수는 사약을 16잔을 마셨는데 멀쩡해 결국 스스로 목을 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