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주사는 한번 맞으면 평생 가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 봅니다.
폐렴주사는 한번 맞으면 평생 유효한것인가요?
제가 기관지확장증이 있는데 , , 맞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폐롐도 6년전에 걸렸었고..
ㅠ 폐가 안좋네요..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폐렴 백신은 폐구균이라는 균에 대한 백신을 가리키며 폐렴 전체를 예방하는 것은 아닙니다. 폐구균 백신 13가, 23가 백신이 있습니다. 23가 백신은 65세 이전에 맞았으면 65세 이후 1회 더 맞고 추가로 또 맞지는 않으며, 13가 백신은 연령에 관계 없이 1회 접종합니다. 13가 백신과 23가 백신은 1년 정도 간격을 두고 맞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대개는 23가 와 13가 접종을 일정간격을 두고 시행을 받는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이는 기저질환과 나이 등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많이 있어 내과전문의와 상의하셔야 하겠습니다.
23가 다당질 폐렴사슬알균 백신의 통상적인 재접종은 추천되지 않습니다. 65세 이전에 접종을 받았으나 5년 이상 경과한 65세 이상의 노인, 기능적 또는 해부학 적 무비증, 선천성 면역저하, HIV 감염,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백혈병, 림프종, 호지킨 병, 악성종양, 장기간 면역억제제 투여(코르티코스테로이드 포함), 치료방사선요법, 고 형장기이식, 다발성 골수종 환자와 같은 면역저하상태인 경우 초회 접종 5년 후 재접종 을 합니다. 세 번 이상의 접종에 대해서는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 며 일반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13가, 23가 2가지 예방주사가 있습니다. 23가는 65세 이상은 보건소에서 무료 접종이 가능하며, 13가는 본인부담 13만원 정도 내고 접종 가능합니다.
한번 맞으면 기본적으로 평생 유효하다고는 합니다. 13가 - 단백접합백신이 효과가 더 좋다고는 하는데, 13가를 맞고, 23가를 추후에 맞아서 부스터 효과를 보는게 가장 좋다고는 합니다.
결론적으로 폐렴이 반복된다면 젊은 나이에서도 13가 폐렴구균 예방접종 고려하는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추후 65세에 23가를 맞으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의 경우 60세 이상에서 1회접종을 일반적으로 추천하고 있습니다.
해당 병원 내과에서 접종에 대해 상의를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기관지확장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다면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되도록 접종하시는게 안전합니다. 접종을 맞으면 보통 5년 정도의 유효기간을 가집니다. 따라서 5년마다 재접종을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폐렴 구균 백신의 경우 65세 이상에서 1회 접종을 하며 19-64세 이하에서 접종 대상이 되는 경우는 면역 저하자 및 정상 면역 성인에서 만성 심혈관 질환, 만성 폐 질환, 당뇨,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 알콜 중독, 간경변을 포함한 만성 간 질환, 흡연자의 경우 접종 대상이 됩니다. 이 경우에는 65세가 되었을때 1회 재접종을 시행합니다 ( 단, 65세 이전 접종 후 접종 시기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현재는 13가 백신과 23가 백신이 있습니다. 13가 백신은 평생 1회 접종, 23가 접종은 65세 이전에는 5년 간격으로 2회 접종을 권고합니다. 면역 저하자의 경우에는 50세 이하에서도 접종을 권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