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잡지식 아인슈타인
잡지식 아인슈타인22.12.14

물과 기름이 섞이지않는 과학적인 원리가 궁금합니다.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다는 그 사실은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원리 때문에, 물하고 기름은 섞이지 않는 것인가요?

전문가분들의 설명이 너무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4

    우선 밀도의 차이 입니다. 물은 밀도가 1이고 기름은 0.89입니다. 상대적으로 분자의 밀도가 작은 것은 위로 무거운것은 아래로 가라 앉습니다. 그래서 물과 기름이 분리가 됩니다.

    또 물은 친수성이고 기름은 소수성(물과 친화력이 적은 성질)이기때문에 물과 기름의 분자는 자체가 결합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극성(물)과 무극성(기름)의 차이,

    밀도의 차이가 물과 기름을 섞이지 않게 해줍니다.


  • 물과 기름의 분자구조 차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 분자이고, 기름은 무극성 분자입니다.

    일반적으로 극성 분자는 극성 분자끼리, 무극성 분자는 무극성 분자끼리 결합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물과 기름이 섞일 수 없습니다.

    굳이 섞으려면 기름 입자를 아주 잘게잘게 나누어서 나노 크기 수준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기름끼리 다시 뭉치기 때문에 물과 섞이지 않습니다.


  •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이유는 비중 차이가 있다는 것입니다. 물의 비중은 1인데 비해 기름의 비중는 평균적으로 0.9 입니다. 그래서 물속에 기름 입자는 물보다 가벼워서 물 표면으로 떠오르게 됩니다. 또 다른 이유는 화학적 구조의 차이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을 띄는 반면에 기름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비극성 물질입니다.


  •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또다른 이유로는 밀도와 관계가 있습니다. 밀도는 일정한 면적이나 공간 속에 무엇이 빽빽이 들어 있는 정도를 말하는데요. 일정한 공간 안에 무언가가 가득하다면 밀도가 높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름과 물이 섞이면 경계면이 생기면서 물 위에 기름이 둥둥 떠다니는 것을 본 적이 있을텐데요. 기름이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물은 밀도가 크고 기름은 밀도가 작기 때문에 물과 기름이 섞이면 밀도가 작은 기름이 물 위에 뜨는 형태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랍니다.

    출처 : https://m.blog.naver.com/storychunjae/221512167077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한 이유는 밀도 차이때문입니다. 비중이 1인 물보다 크면 내려가고 작으면 물에 뜹니다. 비중이 기름이 물보다 작기 때문에 물에 뜨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