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금지가 경제적으로 50조에 가까운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던데 그 근거는 무엇인가요?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논란들이 많이 있습니다
여러 전문가들의 이야기들을 보니
새벽배송을 금지하는 것 자체가 경제적으로 50조에 가까운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더군요
새벽배송 금지가 시행될 경우 50조의 경제적 손실은
어떤 것들을 근거로 나온 수치인지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새벽배송 금지로 인한 손실 50조원은 물류, 유통, 소비, 일자리 파급 효과를 포함한 추정치입니다.
배송 차질로 인한 소비감소, 기업 매출 하락, 고용 축소등을 모두 합산한 수치입니다.
단순 택배 손실이 아니라 경제 전반에 걸친 연쇄 효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50조 손실 추정치는 주로 급성장하는 새벽배송 시장 자체의 예상 매출 규모가 사라지는 직접적인 경제적 위축분을 핵심적으로 반영합니다. 새벽배송과 연관된 대규모 고용 인력이 사라지면서 발생하는 실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ㅇ인력 운용 비효율성을 산정하여 포함합니다. 새벽배송의 중단은 신선식품 제조, 콜드체인 기술, 포장재 등 연관 산업 전반에 걸친 신규투자 및 기술 개발을 위축시켜 발생하는 기회비용 손실을 계산합니다.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던 편의성 및 시간 절약이라는 소비자 편익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생산성 향상 효과의 상실분을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여 손실에 포함했습니다. 특히 이 수치는 택배 물류의 효율성 저하와 신선식품의 폐기율 증가 등 물류 시스템의 비효율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합산한 결과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새벽배송은 이미 우리나라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편리성을 주는 서비스입니다.
이런 새벽 배송이 금리되면 해당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고 매출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이나 물류회사등에도 타격이며 이는 현재 기준 매출의 40%가량 감소한다는 전제하에 추산되었습니다.
이커머스 33조, 소상공인 자영업자 18조, 물류, 2조 가량 감소한다는 수치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새벽 배송 금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이미 새벽 배송 경제가 상당한 규묘이며
그 경제적 규모가 약 50조원으로 계산이 되기에
이를 금지하면 그런 손실이 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새벽배송의 금지가 50조의 손실을 야기할 것이라는 예상은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연구에 의한 것으로서, e커머스 업체 매출 감소, 소상공인 매출 감소, 택배업계의 일자리 감소에 의한 손실 등에 대한 예상액을 기초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7일 배송이 전면 금지될 경우 전자상거래(이커머스) 33조2000억원, 소상공인 매출 18조3000억원, 택배산업 2조8000억원 등 최대 54조3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학회에 따르면 새벽·주7일 배송 서비스 등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최종수요 1조5400억원, 생산유발액 2조72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 1조2500억원, 수입유발액 3000억원, 취업유발 1만2000명, 고용유발 7000명 등으로 추정한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