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지렁이는 비오느날에만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평소에는 길가에 지렁이가 잘 안보이지만요
비가 오는날에 보면 도로에 지렁이가 엄청 많은데요
왜 지렁이는 비오느날에만 나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지렁이는 피부를 통해 호흡합니다. 비가 오면 토양이 축축해지고 산소가 토양 속으로 잘 통하지 않게 되므로, 지렁이는 산소를 더 쉽게 얻기 위해 지표면으로 올라옵니다. 비가 많이 내리면 토양이 물에 포화되어 물이 고이게 됩니다. 이러한 환경은 지렁이에게는 질식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렁이는 물이 찬 토양을 피해 지표로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기압의 변화도 지렁이가 지표면으로 나오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비가 오기 전 낮은 기압은 지렁이가 지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지렁이는 건조한 환경과 햇빛에 매우 약하여 밖으로 나와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말라서 죽기도합니다.
그리고 흙의 유기물을 먹고 성장하므로 밖에 나올일이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특별한 일이 아니라면 토양의 아래에서 밖으로 나오지 않으려 합니다.
하지만 비가오면 지렁이가 서식하는 굴에 물이 차오르게 됩니다.
지렁이는 물 속에서는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에 비가오면 지하에서 밖으로 나오게됩니다.
지렁이가 비오는 날에만 밖으로 나오는 데에는 두 가지 주요 이유가 있습니다.
지렁이는 피부 호흡을 합니다. 즉, 폐가 아니라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하지만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스며들어 공기가 부족해집니다. 특히, 크기가 큰 지렁이는 작은 지렁이보다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산소 부족을 더 빨리 느낍니다. 따라서 지렁이는 물기가 많아 공기가 풍부한 비오는 날 밖으로 나와 숨을 쉬기 위해 땅 밖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비가 오면 땅 표면에 유기물이 쉽게 녹아내려옵니다. 지렁이는 죽은 잎이나 식물과 같은 유기물을 먹이로 합니다.따라서 지렁이는 비가 오는 날 밖으로 나와 먹이를 찾기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지렁이는 피부호흡을 하는 동물이며, 다습한 환경에서는 공기가 체표로 유입되는 양이 줄어들게 되어 이동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물 속에서도 장기간 호흡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져 반드시 그런 이유는 아닙니다. 현재는 체액을 보존하기 위해, 혹은 비가 오는 날 은신처가 노출되기에 천적을 피해 이주를 위해 이동한다는 여러 가설들이 제시되고는 있습니다.
지렁이가 비 오는 날에 지표면으로 많이 나오는 이유는 그들의 서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지렁이는 호흡을 위해 피부를 통해 산소를 흡수하는데, 평소에는 땅속의 공기로도 충분히 호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가 오면 땅속의 공기가 물로 채워져 지렁이의 호흡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렁이들은 지표면으로 나와 산소를 취하게 되는 것이죠. 또한, 비가 온 후에는 지표면이 부드러워져 이동하기에 좋은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지렁이는 이런 기회를 利用해 새로운 서식지를 찾아 이동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비 오는 날에 지렁이가 유독 많이 보이는 것은 그들이 호흡을 위해, 그리고 더 나은 서식 환경을 찾아 지표면으로 나오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지렁이들은 건조한 환경을 선호하며, 건조한 날씨에서는 흙 속이나 지하에서 생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비가 오면 지표면이 축축해지고 흙이 젖어서 지렁이들이 지상으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는 지표면이 축축해지면서 지렁이들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생존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지렁이가 비오는 날에만 나오는 이유는 지렁이는 피부 호흡을 하기 때문입니다.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스며들어 공기를 얻기 힘들어지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비가 내리고 나서 지렁이가 땅 위로 많이 올라오는 이유는 지렁이가 폐호흡을 하는 인간과는 달리 '피부호흡'을 하는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 지렁이는 보통 땅 속에서 서식하며, 땅 속 공기층으로부터 산소를 피부로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비가 내리게 되면 토양 속 공기층이 물로 차오르게 되면서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기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호흡을 하기 위해서 땅 위로 올라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