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앵그리버드
앵그리버드

한센병은 전염이 안되는 병인가요??

한센병은 전염이 안되는 병인가요?

고대 시절부터 한센병은 사람들에게 상당히 두려움의 대상이 되던 병이라고 들었거든요.

한센병에 걸린 환자들도요.

전염이 될까봐 그리 두려워한걸로 알고 잇는데. . . .

전염의 유무가 궁금해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한센병(나병)은 전염성이 매우 낮은 질환입니다.

    과거에는 전염성이 강한 병으로 오해해서 한센병 환자들이 사회적으로 큰 차별과 격리를 당했던 역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한센병에 대해 더 여구한 결과 실제로 전염 위험은 크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한센병은 주로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염이 이루어지려면 장기간, 밀접한 접촉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센병에 대해 자연 면역을 가지고 있어 감염되지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의 약 95%는 한센병에 걸리지 않습니다.

    한센병은 치료 가능한 병이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면 전염성이 즉시 사라집니다.

    고대와 중세 시대에는 한센병의 전염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과도한 두려움을 느꼈습니다. 한센병 환자들은 종종 사회에서 격리되거나 낙인찍혔습니다.

    질병의 전염성보다 잘못된 인식과 편견 때문이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센병이라는 명칭은 노르웨이 의사 한센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이 처음 발견된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가라, 풍병, 대풍라 등으로 불렸고, 과거에는 문둥병 또는 천형병으로 불렸습니다. 치료하고 있는 한센병은 전염이 거의 되지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나균에 의해 감염되는 만성 전염성 질환을 한센병이라고 하는데 6세기에 처음 발견된 병이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24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연간 1만 명당 1건 미만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입니다. 나균은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키게 됩니다. 나균이 한센병의 원인 병원체입니다. 이는 가족 내에서 장기간의 긴밀한 접촉으로 인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한 감염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상기도나 상처가 있는 피부를 통해 나균이 침입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 한센병은 한센병균이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키는 질환입니다. 한센병균은 나균이라고도 하며, 과거에는 나병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이거는 혼자 면역이 증가하면 나을수 있는 병입니다. 전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