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오스본효과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스본효과에 대한 질문입니다.

제 예시가 오스본효과가 맞는지 궁금하네요.

장기적으로 내연기관차가 사라지고 전기수소차들이 주류를 이룰 미래를 대비해서 10년이후 중고차 가격을 제대로 못받을 것을 걱정한 신차고객들이 내연기관차를 안사고 전기차를 사는현상.

오스본효과가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
      류경태 경제전문가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스본효과라는 것은 곧 사라지게 되거나 단종될 제품에 대한 주문을 취소하거나 연기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질문자님이 말씀주신 경우도 오스본효과에 해당할 수 있으며 다만 범위의 폭을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에 맞추어 본 것인데 엄밀하게 따진다면 내연기관차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보니 조금 차이가 있기는 합니다.

      보통 오스본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는 기존의 제품 자체가 더이상 만들어지지 않는것을 가정하다 보니 내연기관차 자체가 전체가 없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한은 엄밀하게 오스본효과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스본 효과는 소비자가 가전시장에서 향후 가격이 급락하는 현상 때문에 소비를 미루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향후 더 신제품이 나와 지금 상품의 가격이 크게 하락하는 것을 우려하여 소비를 줄이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네. 오스본효과가 맞는것으로 보입니다.

      신제품 출시 발표를 이르게할 경우, 구제품을 사지 않고 신제품을 기다리는 것을 오스본효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스본 효과(Osborne Effect)는 기업이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기존 제품의 판매를 중단하거나 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새 제품 출시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줄이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제품 출시 일정이 공개되고, 소비자들이 새 제품의 출시를 기대할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가 새로운 모델의 노트북을 출시하기 전에, 기존 모델의 판매를 중단하거나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 소비자들은 새로운 모델이 출시되기 전까지 기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 모델의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회사는 예상치 못한 수익 감소를 겪게 됩니다.

      이러한 오스본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새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소비자들에게 출시 일정을 공개하고, 기존 제품의 판매를 중단하지 않거나 가격을 인하하는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오스본효과는 제품의 가격이 내리면,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제품을 구매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제가 이해한 바로는, 제시하신 예시는 오스본효과와는 다소 관련성이 적어보입니다.

      예시에서는, 신차고객들이 내연기관차를 안사고 전기차를 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단순히 가격이 내려서 더 저렴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보다는, 미래의 기술 발전과 함께 대중 교통수단이 전기차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아져서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오스본효과와는 조금 다르게 작용합니다.

      하지만, 전기차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내연기관차의 수요가 감소하는 현상은, 일종의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로 볼 수 있습니다. 대체효과는 두 개의 제품이 서로 대체가 가능할 때, 한 제품의 가격이 변화함으로써 다른 제품의 수요도 같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체효과가 작용해서, 전기차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내연기관차의 수요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