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끈질긴당나귀105
끈질긴당나귀10521.02.23

무상증자나 유상증자가 호재일까요?

주식시장에 들어와서 무상증자와 유상증자를 하는 주식을 몇번 봤는데 초기에는 미친듯이 오르다가 갑자기 뚝 떨어지는 종목들이 많더라구요....이런 증자들은 어쨋든 단기상승을 가져오니 호재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무상증자는 단기성 호재같습니다

    무증은 회사가돈이많다는걸 보여주는 이벤트입니다

    무상증자를한다는 공시만봐도 주가가상승하죠 하지만 거의대부분은 무상증자를 받기전에 나갑니다 돈이 묶여있는것도 싫고 무증으로인한 권리락으로 주가는 반토막이됩니다

    유상증자는 어디에투자를하는가에 따라 다릅니다 회사를위한 공장설립이나 투자는 호재성을띠나 빚을갚는곳에쓰이거나 단지 운영비용이라면 악재로 돌변합니다


  • 상승을 가져오는 뉴스는 모두 호재입니다. 무상증자 또한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있어 서로 윈윈이니 지금 한국석유처럼 미친듯이 오르는 거겠죠. 어쨌든 단기적 상승이든 장기적 상승이든 주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뉴스와 사건은 모두 호재입니다. 애초에 단기 상승후 떨어지는 것도 거품이 껴있다가 원래 주가가 있어야 할 위치로 떨어지는 거니까요.


  • 우선

    무상증자란 쉽게 말해 기업이 자신의 잉여금또는 남는 자산으로 주주들에게 공짜로 주식을 나눠주는개념입니다. 설명하자면

    회사 전 재산 현금 10만원 = 자본금 5만원 + 길에서 주운 돈 5만원

    이때 회사의 자본금을 10만원으로 늘이고 싶다면 길에서 주운 돈 5만원을 사용하면 됩니다. 즉 길에서 주운 돈 5만원을 마치 주식을 발행해서 돈이 들어온 것처럼 고치는 겁니다.

    그러면 회사의 재무상태표는 다음과 같이 됩니다.

    회사 전 재산 현금 10만원 = 자본금 5만원 + 새로 주식을 발행해서 모은 돈, 즉 새로운 자본금 5만원

    따라서 회사의 재무상태표를 간단히 만들면 이렇게 됩니다.

    ‘회사 전 재산 현금 10만원 = 자본금 10만원’

    그에 반해 유상증자는 기존 주식들을 희석시키는 개념입니다.

    예를들어 회사전재산 5만원인데 10만원으로 5만원의 자본금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액면가 5천원인 주식을 10개 더 발행한다면 원하는 회사 자본금 10만원=기존자산 5만원+신주를 발행 (5천원×10)한다면 되겟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자없이 주식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주들의 기존 주식은 가치가 희석대며 떨어지는 일이 생기죠 이를통한 주주들의 권리를 주기 위해 주는 것이 유상청약(신주인수권)이라 합니다.하지만 기업들은 빠른 자본금 유치를 위해 제3자 주주 배정을 하는게 일반적이기때문에

    악재로 받아들여지는게 흔하죠.

    일단 무상증자는 악재 호재개념이 없습니다.

    유상증자같은경우엔 그 자본금을 회사가 부채를 갚을것인지 사업을 확장할것인지 먹고 튈것인지에 따라 주가에 영향을 끼치는게 다르기때문에 악재또는 호재라고 말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하지만 심리적으로 유상증자같은경우엔 악재가 되기도하며 그에 따른 변동성을 조심하셔야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2.25

    증자중에는 무상으로 주식수를늘리는 무상증자와 유상으로 주식수를 늘리는 유상증자가 있습니다.

    무상증자란 기업의 실적이 좋고 수익이 커서 그 이익을 신주를 무상으로 발행해서 주주들에거 주는거기 때문에 좋은 호재로 대부분 작용합니다. 그만큼 기업이 탄탄하다는 반증이 되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빚이 많고 부체가 많은데 주주들에게 쉽게 수익을 나눠줄리 만무합니다

    반대로 유상증자는 기업이 신규투자를 하거나 신사업을 하기 위해서 기존 주주들이나 새로운 주주(제3자배정)에게 주식을 발행해서 자금을 모으는 과정입니다 보통 기존 주주 배정은 주가에 악재로 작용을 많이 합니다 기억이 이익률이 좋고 실적이 탄탄하면 굳이 기존 주주들에게 증자를 해서 돈을 모을 이유가 없죠, 대신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는 그 주가에 호재로 작용합니다 기존주주가 아닌 새로운 주주에게 주식을 발행해서 자금을 모으는 행위이기 때문에 아주 좋습니다 더군다나 그 3자 배정유상증자를 참여하는 기업이 삼성전자다? 라고 생각하시면 더 할 나위 없습니다 . 기존주주배당 유상증자라고 해서 다 나쁜것은 아닙니다 예를들어 2차전지 기업의 경우에는 지금 한참 신규 설비투자를 해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미래 성장성이 큰 기업의 경우에는 유상증자를 통해 공장을 짓거나 새로운 설비투자를 해서 그만큼 기업의 파이를 늘리기 때문에 이후 중장기적으로 보면 기업에 큰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이런 종목의 유상증자는 기존주주라면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보통 무상증자는 주가에 호재로 작용하여 주가가 상승합니다.

    반면 유상증자는 1. 기존주주배정 유상증자는 악재로 작용해서 주가가 하락하구요 . 2. 제 3자배정 유상증자는 호재로 작용해서 주가가 상승합니다


  • 호재이기는 하나 길게 보는 장투의 경우 이득이라고 보기는 어려울꺼같습니다.

    단타하시는 분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할 경우도 있으며 잘못하다가는 물려보리는 아주 안좋은 상황으로 올수도있습니다.

    주식이라는 상황상 호재다 아니다는 장중에보여지는 자그마한 부분이기때문에 호재라고만 보기어렵습니다.


  • 무상증자는 보통 호재로 작용합니다.

    유상증자의 경우 목적에 따라 호재 또는 악재로 작용 할 수 있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무증, 유증 둘다 단기 상승을 가져왔다면 호재로 작용한것이지요.

    무증은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지만 유증은 어떠한 목적으로 하는지만 잘 확인하시고 매매 하시면 괜찮으실 것 같애요.

    성투하세요.


  • 1. 무상증자

    무상증자는 단기적으로 호재, 중 장기 적으로는 악재로 보고 있습니다.

    왜냐면 무상증자 뉴스가 나온 종목들은 대부분 단기적으로 크게 시세를 주는 경우가 많은데요.

    무상증자를 받기 위해 권리락(기한내에 그 종목의 주식을 가지고 있어야 무상증자 권리를 가질수 있음) 내에 그 종목의 주식을 사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기 때문에 단기적 시세가 올라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무상증자 후에 (무상증자를 받고 난 후) 는 그 종목의 수익실현 매물들이 엄청 나오기 때문에 주가가 계속 하락하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2. 유상증자

    유상증자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악재로 보며, 제3자배정 유상증자는 호재로 보고 있습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그 기업이 투자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주주들 상대로 유상증자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이때 회사의 가치가 높다면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개인주주들도 많구요. 다만 이렇게 되는 경우는 현재 주가에서 15~30% 프로 할인된 가격에 유상증자를 받기도 하며, 개인주주 상대로 하는 유상증자는 특별한 경우가 있지 않은 이상은 보호예수가 걸리지 않습니다(보호예수란? 기한내에 팔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때문에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단기적 악재로 보고 있습니다 왜냐면 당연히 할인된 가격에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식을 할당받고 난 후 그 매물들이 바로 수익실현을 하기위해 시장에 쏟아지기 때문이지요...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는 호재로 보시면 좋습니다.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는 다른기업, 기관 들에게 배정하는 유상증자 이며, 그 회사의 대주주, CEO 들도 제 3자 배정으로 보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 유상증자는 회사의 가치가 올라가는 경우로 생각하기 떄문에 호재로 보고 있습니다.

    당연히 이렇게 배정되는 유상증자는 보호예수 최소 1년 이기 때문에 바로 시장에 나오는 매물이 아니라고 생각하시면 되시구요^^

    무상증자든, 유상증자든, 그 시장의 현재의 상황과, 그 기업의 가치 등등 여러가지 상황들이 겹쳐지기 때문에 충분히 알아보고 투자하시는게 현명한 투자가 되실겁니다!


  • 무상증자는 호재로 알고있습니다.

    말씀하셧듯이 급등락이 매우 불안전하니 잘 대응하시는것이 중요합니다.

    유상증자의 경우 이유가 중요한데 이유가 어떻든 대부분 악재로 반영되더라구요.

    얼마전까진 탄탄대로 였는데 요즘 변동성이 심하니 성투하시길 기원합니다.

    코스피 만시대가 어서오길.. 바래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