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말끔한할미새85
말끔한할미새85

왜 버스카드는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야지만 작동되고 스마트키는 먼곳에서도 작동하나요?

스마트키와 버스카드 리더기등은 같은 RFID기술을 활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왜 버스카드는 리더기에 가까이 가져가야지만 작동되고 스마트키는 먼곳에서도 작동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버스카드는 카드내부에 칩이 포함되어 있어서 리더기에 가져가야만 읽혀지는거죠.

    반면에 스마트키는 신호를 발생시켜 동작을 시키기에 버스카드와는 비교대상이 될수 없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버스카드와 스마트키는 모두 RFID 기술을 사용하지만 작동 방식에서 차이가 있어 작동 거리가 다른 겁니다

    버스카드의 경우 수동 RFID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카드 자체에 전원이 없어 없어 리더기의 전자파 신호에 의해 작동합니다. 따라서 리더기와 가까이에 있어야 전자파 신호를 받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스마트키는 능동 RFID 방식을 사용합니다. 즉, 카드 자체에 전원이 있어 리더기로 신호를 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리더기와 일정 거리 안에 있으면 신호를 주고받아 작동할 수 있어 좀더 먼거리 에서도 작동 하는 겁니다

  • 둘다 RFID 기술을 활용한것은 맞으나 전원을 공급할수 있냐 없냐에 따라서 신호 송출거리가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전원이 없는 카드 같은 것을 RFID 패시브 방식이라고 하고 배터리가 있는 스마트키는 RFID 액티브 방식이라고 합니다. 전원이 있어서 자체적으로 신호가 송출가능해서 먼거리까지 가능하고 전원이 없어서 리더기에서 온 신호를 전자기 유도를 통해서 전원으로 쓰기 떄문에 거리가 가까운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버스카드와 스마트키 모두 RFID 기술을 사용하지만, 작동 범위는 사용하는 주파수와 같은 기술적 차이로 인해 다르게 나타납니다. 버스카드는 주로 저주파 대역(일반적으로 13.56MHz)을 사용하며, 좁은 범위에서만 리더기와 통신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스마트키는 주로 고주파 대역(주로 300MHz 이상)을 사용해 더 넓은 범위에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FID의 주파수 대역과 안테나 설계 차이에 따라 두 시스템의 작동 범위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버스카드와 스마트키는 둘 다 RFID 기술을 사용하지만, 작동 범위 차이는 두 시스템의 주파수와 출력 차이에 기인합니다. 버스카드는 주로 저주파수 대역(125kHz 또는 13.56MHz)을 사용하며, 이로 인해 전력 소비가 낮아야 해서 근거리에서만 작동하게 설계됩니다. 반면, 스마트키는 일반적으로 고주파수 또는 초고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보다 강력한 신호를 통해 더 먼 거리에서도 차량과 통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 각 기술이 다른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