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라이언
라이언23.02.18

교통카드는 어떤 원리를 사용하는 건가요?

버스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기만 하면 인식이 되어 작동하는데, 어떻게 인식을 하는 건가요? 교통카드에도 배터리가 들어가나요? 교통카드의 원리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교통카드와 같이 접촉하지 않고 데이터 교환을 처리하는 방식을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라 하는데, 이 비접촉식 스마트카드의 작동에는 전자기 유도 원리가 숨어 있다. 코일이 감겨진 내부로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전류가 흐르는 것처럼, 자기장이 변하는 코일 주변에 다른 코일을 가져가도 유도전류가 흐른다.

    요금을 처리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에는 교류가 흐르고 있어 계속 변화하는 자기장(전자파)이 발생한다. 여기에 교통카드를 갖다 대면 교통카드 내부의 전선에 유도전류가 흐른다. 교통카드 내부에는 반도체칩, 즉 중앙처리장치가 내장된 IC칩과 연결된 전선이 모서리를 따라서 여러번 감겨 있다. 이렇게 발생한 유도전류는 콘덴서에 모아지고, 반도체칩은 이렇게 모아진 전류를 이용해 작동하는 것이다. 칩은 교통카드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요금 정보를 변경하고 시간을 기록한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비접촉식 교통카드는, 단말기 가까이에 카드를 가져다 대면 단말기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카드 내부의 안테나에 전류가 유도되어, 이 전력을 이용해 중앙 처리 장치에서 연산이 이루어진 후 자동으로 통신 과정이 이루어진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교통카드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이용합니다. 이 기술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카드와 리더기 간에 정보를 주고받습니다.


    카드에는 마이크로칩과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리더기는 안테나를 통해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옵니다. 이때, 카드와 리더기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송 신호가 약해지기 때문에, 일정 거리 이내에서 사용되어야 합니다.


    교통카드에는 사용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충전금액, 사용내역 등도 저장되어 있습니다. 충전금액은 카드를 리더기에 대면하여 충전기로 충전하거나, 인터넷 뱅킹 등을 통해 충전할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는 교통수단에서만 사용되지 않고, 일부 지역에서는 할인혜택 등을 받을 수 있는 혜택카드로도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RFID 기술은 출입통제, 재고관리, 동물 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ChatGPT Feb 13 Version. Free Research Preview. Our goal is to make AI systems more natural and safe to interact with. Your feedback will he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