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고혹적인딩고208
고혹적인딩고20823.04.04

입에 씹지않고 물고 있는 아이 뭐가 문제일까요??

첫째 아이가 밥을 먹으면 입에 물고는 씹지않아요 먹어야지 씹어야지 하면 그제서야 오물오물 밥 먹는 시간이 너무 길어져서 아이도 엄마도 너무 힘드네요. 근데 과자나 빵은 제법 잘 먹는편인데 이것들만 줄 수가 없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빵이나 과자는 잘먹는다면 저작기능에 문제가 있는것은 아닌듯합니다

    아이가 밥을 먹는것에 대해서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 나타날수있습니다

    이럴땐 아이와 놀이처럼 씹는것을 연습하고 알려주는것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5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을 입에 물고 씹지 않고 바로 삼키는 경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이가 아직 충분히 나지 않았거나, 구강 근육의 발달이 미흡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성격이나 개성도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혹은 식사를 할 때의 환경이나 분위기에 따라서도 변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밥을 잘 씹지 않는다면, 아이와 함께 식사하는 시간을 즐겁게 만들어 주고,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이나 색깔을 활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제공해 보세요. 또한, 아이의 이가 충분히 나오지 않았을 경우에는 약간 부드러운 음식이나 유제품을 제공해 주어 씹기 쉽도록 만들어 줄 수도 있습니다.

    물론, 아이의 안전을 위해서는 잘 씹고 삼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밥을 씹지 않을 경우에는 음식의 크기나 모양을 변경하거나 유제품이나 과일 등을 제공하여, 아이가 씹기 쉽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계속해서 문제가 된다면 소아치과나 소아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먹지 않고 입에 머금고 있는 경우

    또래 친구나 가족이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모습을 관찰하게 해보세요. 조금은

    과장된 모습으로 맛있게 먹는 모습을 연출하면 더 좋습니다. 이를 아이도 배우게 됩니다. 거울, 돋보기

    등으로 씹는 모습을 관찰해보는 것도 아이의 호기심을 일깨웁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책이나 영상을

    통해 다른 사람이 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밥 먹기 전에 간식을 먹는 건 아닌지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배가 채워져 있으면 음식에 흥미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가 아이 앞에서 밥을 맛있게 꼭 꼭 씹어서 먹는 모습을 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올바른 식습관과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과자나 빵을 잘 먹는다 라면 아이는 편식을 하는 것입니다. 우선은 과자나 빵을 주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에게 편식을 하면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밥 먹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오래 씹고 있다면 더 이상의 밥은 주지 마시고 밥상은 정리하도록 하세요.

    행여나 아이가 배고플까봐 걱정이 되신다고 빵과 과자는 주시는 것은 금물 입니다. 아이가 배가 고프다고 한다면 차라리 밥을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 성장과정중에 씹는 행위 자체를 귀찮아하기도 합니다

    가급적 식탁 주변은 관심뺏길 만한 물건 치워주시고 아이가 배고파할때 식사를 시작해주세요 지금처럼 중간중간 챙겨서 씹도록 해주시고 당연한일이어도 꾸준히 칭찬해주세요 크게 걱정할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먹기 싫어하는 경우에 씹지 않고 입에 물고만 있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간식은 단 맛이 강하기 때문에 간식을 주는 횟수나 양을 줄이는 것이 좋을 것 같고 신체활동을 하는 시간과 밥을 먹는 텀을 늘려보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