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백련교라는 종교는 어떻게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옛날에 중국 명나라인가?


그쪽에서 백련교라는 종교가 있었다고 하던데


백련교는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떤 특징을 갖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송ㆍ원ㆍ명ㆍ청에 걸친 민간종교의 일파. 그 기원은 12세기, 남송의 모자원(茅子元)의 백련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모자원의 백련종은 오계를 받들고, 아미타불을 염해서 정토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는 염불결사였다. 그 교단은 지도층이 반승반속(半僧半俗)의 가정을 가진 특징이 있으며, 또한 채식주의를 신봉했기 때문에 백련채(白運菜)라고도 불렸다. 또한 모자원은 불교교리를 <보(普)ㆍ각(覺)ㆍ묘(妙)ㆍ도(道)>의 4자로 요약해서 신자를 지도했으며 백련종은 고종시대(1127~62)에 융성한 대접을 받아서 민간에 침투되었는데, 모자원의 사후에는 점차로 반체제적인 경향을 띠었다. 원의 중기에 보도(普度)가나와서 『여산연종보감(廬山蓮宗寶鑑)』을 저술해서 백련종의 정화를 외쳤는데, 그 저술 중에는 민간 백련종 신도 중에 <미륵 불하생>을 말하며, 또한 사언(邪言)을 전수해서 밤에 집회를 하여 새벽에 흩어져가는 자가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며, 백련종이 민중의 반체제적인 운동의 온상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4세기 중엽이 되면서 각지에서 백련교도의 반란이 일어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한산동(韓山童)집단과 서수휘(徐壽輝)집단에 의한 반란으로 한씨는 한산동의 조부 때부터 백련회를 조직하고, 한산동에 이르러서, <천하가 매우 혼란하여 미륵불이 난다>라는 구호(슬로건)를 내걸고, 유복통(劉福通) 등과 결합해서 반란을 일으켰다.

      한산동은 조기에 관헌에 잡혔는데, 그의 아들 한림아는 유복통에 옹립되어서 소명왕이라고 하였으며, 호주에서 송국을 세워서 원호를 용봉이라고 정했다. 이 <명왕>이라는 칭호는 한편으로는 불교에 유래하는 것이라고 하며 마니교에 유래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다음에 서수휘 집단은 참모 팽형옥이 서수휘를 두목으로 추천해서 결성한 것으로, 반란시에 <미륵불하생>을 제창하고, 기수를 국도로서 천황국을 수립했다. 이 서수휘 집단에는 추보승, 구보상, 조보승 등처럼 <보(普>자를 이름위에 불이는 사람이 많았는데, 이는 <보ㆍ각ㆍ묘ㆍ도>를 표방한 모자원의 백련종에서도 볼 수 있는 것으로, 상호 연관성이 고려된다.

      명대에 들어와서 백련교는 더욱더 민중에게 침투되었고, 명 일대에는 『명실록(明實錄)』에 의하면 80회 이상의 백련교 관계의 사건이 일어났는데 그 최대의 것은 명말의 산동에서 일어난 왕삼ㆍ서홍유의 난(1622)일 것이다. 또한 명대에 들어오면 백련교계의 여러 교단에서 포교를 위한 경전이 제작되었는데 통상, 보권(寶卷)이라고 하는 경전 중에는 <진공가향>, <무생부모>라는 말이 보이며, 명말에서 청대에 걸쳐서는 백련교의 <팔자진언(八字眞言)>이라고 하게 되었다. 이 <팔자진언>은 민중이 현실의 부모나 집ㆍ고향과의 관계, 즉 지연적ㆍ혈연적 관계를 부정해서 반체제적 행동에 몸을 던질 때에 유력하게 작용한 사상이라는 견해도 있다.

      청대에 들어와서도 지제(持齊), 염송(念誦), 계탐(戒貪), 계음(戒淫) 등의 수행에 의해서 불이 되고 선인이 되는 것을 구한 백련교도의 활동은 활발하며, 가경조(1796~1820)에는 혼원교(混元敎)의 유송의 제자 유지협이 중심이 되어, 명의 후예라는 우팔(牛八)을 세워서 유사아(劉四兒)를 미륵불 전세로서 우팔을 보좌시키고, 혼원교를 고쳐서 삼양교(三陽敎)로 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백련교 (종교학대사전, 1998. 8. 20.)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련교는 송나라부터 등장하는데 창시자는 모자원입니다. 교리는 현세를 부정하고 내세지향적이라 기존의 질서를 거부하는 미륵신앙와 가까운 형태였으며 이들은 마니교의 영향을 받고 이들의 교리를 흡수해 현세는 거짓이므로 진짜 세계로 가야 한다고 믹어 속세의 정권도 부정했습니다.

      모자원의 백련종은 오계를 받들고 아미타불을 염해서 정토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는 염불결사로 지도층이 반승반속의 가정을 가진 것과 채식주의를 신봉한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련교(白蓮敎)는 원·명대에 걸쳐 유행한 미륵하생신앙을 핵심으로 하는 민간 종교 결사였지만, 중국에서 발생한 이단적인 민간 종교 결사를 통칭할 때 쓰이는 말이기도 했다. 민간 종교 결사의 대명사인 백련교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큰 영향력을 발휘한 것은 백련교도의 정치적 반란이었다.2017. 12. 10.

      http://dh.aks.ac.kr › index.php › 백...

      백련교(白蓮敎) - sillok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