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성격유형이 ISTP로 나왔는데 이 유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제 성격유형이 ISTP로 나왔는데 워낙 내향적이라 혼자있는 걸 너무 좋아합니다.
사람들과어울리는 방법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우아한참밀드리117입니다.
내성적인 성향을 가지고 계신다면 일단 한 사람과 깊은 관계를 만든 다음에 그 사람을 중심으로 관계를 넓혀가면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빈티지한상괭이297입니다.
저도 ISTP라 반갑네요!! 저는 사회화 된 잇팁이라 그냥 평소에는 제 할 일 하고 주변에서 떠들어도 무덤덤하게 있고, 상대방과 1:1로 이야기 할 때 좀 더 친근하게 사람들을 대하는 편입니다. 내 성격이 내향적인데 굳이 억지로 외향적으로 행동하려고 하면 괜히 어색하고 스트레스만 더 쌓이기 때문에 내 성격과 스타일에 맞게 사람들을 대하셨으면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청향초입니다.
먼저 말해드립니다. MBTI는 이론일뿐이며 규칙이나 법칙이 아닙니다. 완벽히 신뢰할수 있는 것이 아니니 참고만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이론은 칼 구스타브 융(1875-1961 스위스 S프로이트의 억압된 내재적 심리를 콤플렉스라 명명함)
이 그의 저서《심리유형론》(1920)에서 사람의 심리를 '외향형' 과 '내향형' 으로 나누고 어느 한쪽의 기질이 우세한지에 따라 그 유형이 결정된다는 단순히 두가지로 나눈 이론일 뿐입니다.
이 이론을 차용해 지금의 16가지 MBTI 의 토대를 만든 사람이 그 유명한? 캐서린 쿡 브릭스(1875-1968) 가정주부 입니다. 그녀는 어느날 자신의 딸이 데려온 남자친구를 보고 성격이 서로 많이 다른데 과연 잘될수 있을까라는 걱정을 하게되죠.
결과론적으로 딸은 남자친구와 결혼하고 잘먹고 잘 살았습니다.
그래도 평소 사람 성격이나 기질에 관해 관심이 많았던 그녀는 우연히 융의 저서를 접하게 되었고 융의 두가지 기질을 네가지로 정리합니다. 사교적, 본능적,사고적,실천적 으로 . 나중에 행복한 가정을 이룬 딸래미가 가세해 더욱 발전시켜 가게 됩니다.
이론이란 것은 가설보다는 나은 형태이나 어떤 규칙 내지는 법칙과는 궤를 달리합니다. 즉 참고는 되지만 진실은 아니죠. 예전에 혈액형별 성격유형이 유행한적 있습니다. 놀랍게도 이론적 토대는 히틀러. 즉 나치의 순수혈통주의 (우생학) 에 근거를 두고 발전된 소위 말하는 유사과학이죠.
제 개인적인 사견은 친구를 많이 사귈려면 말을 많이 할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사귀고자 하는 사람과 나의 공통된 관심사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취미를 가지고 있다던가 가까운 지인이 상대와 연결되어 있는경우 말붙이기 싑죠.
아니면 질문자가 가장 관심있어하고 잘하는 것(공부나 운동, 애니, 낚시, 등산, 소셜 네트워크 등)을 상대도 흥미있어한다면 금방 친구가 될수 있어요.
이상 청향초 였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향기로운벌새271입니다.
초딩친구부터 만나보시고요. 운동좋아하시면
팀으로 하는 동호회에 등록해서 어울려보시면
외향적으로 바뀌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