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0.28

혹시 성조숙증은 성장발육에 어떤 영향이 있는 건가요?

최근에 주위에 들어보니 성조숙증이 많다고 하더라구요 성조숙증이 우리아이도 올까봐 걱정되는대 성조숙증이

걸리면 어떤 점이 발육에 좋지 않고 하는건지 그리고 성조숙증을 걸리지 않기 위해 부모가 어떤 노력을 할수 있는지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29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장 크게 걱정하는 것은 성조숙증으로 인해 성장판이 조기에 닫혀버리는 것입니다.

    성조숙증은 의학적으로 여자 어린이가 만 8세 미만, 남자어린이가 만 9세 미만에 2차성징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남들보다 빠른 사춘기를 정신적으로 견뎌내기 힘들거나 뼈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2살 이상 앞선 경우,

    성장판이 일찍 닫혀 최종 키가 지나치게 작을 것(150cm 미만)으로 염려될 때에만 치료한다고 합니다.

    치료는 약물이나 호르몬제를 쓴다고 합니다. 약물은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기관 축 활성을 억제하고 호르몬제(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유사체)는 기존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한다고 합니다. 사춘기가 나타나는 평균 나이가 될 때까지 생식기관이 자극받지 않도록 억제시킨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이 발생한다면 갑작스럽게 발달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간이 짧아지면서 성장이 갑작스럽게 멈출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은 또래에 비해 2차 성징이 빨리 이루어지게 됩니다. 어린 나이에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친구들보다 조숙하며 키가 빨리 자라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성장 속도가 느려져 예상 신장만큼 키가 자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조숙증의 원인으로는 잦은 환경호르몬 노출과 비만, 가족력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아이 체중조절을 해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균형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중을

    조절해주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

    =키성장및 근력성장방해

    예방법

    1.규칙적운동

    2.식단조절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슥증이 생기면 아이의 키나 성장에 방해를 받을수있습니다.

    성조숙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식단을 너무 기름지거나 밀가루 인스턴트 등을 피하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빠른 성조숙증은 성장을 멈추게 하므로, 적당한 운동을 반드시 시켜야 합니다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하며, 5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이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이 오면 아이의 신장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성조숙증에 걸리지 않게

    패스트푸드 이런 것 섭취를 줄여주셔야 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이 오면, 2차 성징이 빨라집니다

    그렇게 되면 키 성장은 종료됩니다

    성조숙증 예방엔 샴푸도 조심해야 하고, 밀가루 음식 튀긴 음식, 등 정크푸드를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이 온다면 아이가 추후에

    성장을 하는데 방해를 줄 여지가 상당하며

    이와 더불어서 환경호르몬이 노출되는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조숙증은 어린이들이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 단계를 따라 가지 못하고 동료들과 비교해 뒤쳐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어린이들의 사회적, 정서적,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학교생활을 가정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성소죽증에 걸리지 않도록 하려면 인스턴트, 패스트 푸드 음식, 자극적인 음식, 단 음식, 배달 음식, 외식 음식을 되도록 이면 삼가하고 비만과 당뇨가 오지 않도록 식이를 조절 하면서 운동을 병행해야 합니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관리 해주시면서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