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신라의 이사금과 관련하여 왜 이가 많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지도자를 정한건지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이사금은 이가 많은 사람이라는 뜻인데요.
그런데 실제 이사금을 두고 초창기에 누가 이가 많은지를 두고 싸우기도 했다던데 왜 이가 많은 사람을 지도자로 삼았던 배경을 갖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남해 차차웅이 아들 유리 대신 사위 석탈해를 후사로 삼으라 유언을 남기고 붕어하자 사람들이 유언대로 탈해를 차차웅으로 옹립하려는데 탈해는 이를 사양하고 선대 차차웅의 적장자인 유리가 차차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 그러나 남해 차차웅의 유언도 있어 차차웅 자리를 사양할 명문이 없었고 이에 '내가 들으니 이가 많은 사람이 현명하다고 하니 잇자국 수를 세어 더 많이 나오는 쪽이 차차웅이 되는게 어떻겠는가' 라고 제안해 유리와 탈해가 각각 떡을 물어 잇자국의 수를 세어보니 잇금 이 많은 남해 차차웅의 아들 유리 이사금에게 왕을 양보한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정확히는 이가 많다는 나이가 많다 , 현명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의 왕 칭호는 1대 거서간 2대 차차웅 3대부터 16대까지는 이사금 17대부터 22대(지증왕으로 칭호바뀜) 23대 법흥왕부터 56대 경순왕까지입니다. 이사금은 니슨금 닛금 니은금 임금으로 변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치리라고 합니다. 옛말에 이가 많은 사람 즉 연장자는 성스럽고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