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내부저항이 증가할때 전압이 감소하는 이유?
위의 그래프를 보면, 내부 저항이 높을 수록 전압이 감소하는 내용을 담고있습니다. 그런데 옴의 법칙에서 v=IR인데, 공식에 따르면 내부 저항이 높을 수록 전압이 증가해야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문가입니다.
회로에 전류가 흐를 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내부저항이라는 게 있죠
따라서 내부저항에 의해서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는데
옴의 법칙 V=IR에 따라서 결과적으로 전압은 감소하게 됩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전류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강하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말그대로 내부저항이기 때문입니다. 베터리는 보통 사이즈 또는 전압단위로 판매하는데요 이유는 내부저항은 기성품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지 안쪽의 내부저항이 증가하면 내부 일부의 전압이 유지되기 위해 전류가 감소 하게되는데 베터리안에 형성된 내부 전류가 외부 기기와 체결시 외부의 저항들( 설치된 전자기기들)은 그대로 인데 전류가 떨어진 상태니 외부에서 잡히는 전압은 떨어지는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내부저항이 증가할때 발생하는 전압 강하 때문입니다.
내부저항이 높아지면, 부하에 전달되는 전압이 줄어들어 전체 전압을 감소시킵니다.
말씀하신 옴의 법칙은 외부 저항에 대한 전압을 설명하는 것이며, 내부저항은 손실을 유발해 전압을 낮추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옴의 법칙 V=IR은 폐회로에서 성립하는 법칙으로 회로 전체의 전압과 전류, 저항 사이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배터리의 경우, 외부 회로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저항이 존재합니다.
배터리 내부 저항이 증가하면, 배터리 내부에서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외부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감소하게 됩니다. 마치 물이 좁은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즉 배터리의 총 전압은 일정하지만 내부 저항으로 인해 외부 회로에 전달되는 유효 전압이 줄어들기 때문에 외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그래프에서 내부 저항이 증가할수록 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은 바로 이러한 배터리 내부 저항의 영향 때문입니다. 옴의 법칙을 단순히 적용하기보다는 배터리 시스템 전체를 고려하여 내부 저항이 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