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625전쟁당시 북한이 남침은 왜 가능햇나요?

남북이 서로 군사충돌을 피하려했을텐데, 북한이 먼저 전쟁을 시작하게 된 배경과 그 당시의 국제 정세가 어떻게 작용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북한의 남침은 당시 러시아(소련)과 중국이 군사적인 지원을 함에 따라 가능했다고 볼 수 있으며, 소련, 중국도 한반도 적화통일이 될 경우 미국의 영향력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국제 정세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남북한은 분단 이후 지속적으로 갈등을 겪었지만, 전면적인 전쟁은 피하려는 시도도 있었던 만큼, 북한이 왜 먼저 전면전을 일으켰는지, 그리고 그 배경이 된 당시의 국제 정세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작용했습니다.

    우선 북한의 김일성은 무력으로 한반도를 통일하려는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는 남한 내부에 반정부 세력이 많아 전쟁이 일어나면 곧 남한 주민들이 봉기할 것이라고 판단하였고, 단기간 내에 승리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김일성은 소련의 지원 없이는 전쟁을 일으킬 수 없었기에 여러 차례 스탈린에게 승인을요청하게 되었습니다.

    당초에는 한반도의 불안정성이 국제 분쟁으로 번지는 것을 우려한 스탈린이 김일성의 요구를 거절했지만, 1949년 이후 국제 정세가 변화하면서 스탈린의 입장도 달라졌습니다.

    같은 해 중국에서 공산당이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소련도 첫 핵실험에 성공하면서 미국과의 군사적 균형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습니다.

    여기에 더해 1950년 1월, 미국 국무장관 딘 애치슨이 발표한 방위선(애치슨 라인)에서 한국을 제외시킨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소련과 북한은 미국이 한국 문제에 깊이 개입하지 않을 것으로 오판하게 됩니다.

    중국 또한 김일성의 전쟁 계획에 반대하지 않았으며, 일부 조선족 병력과 무기를 제공하는 등 간접적인 지원을 했습니다. 당시 중국은 국공내전을 마친 지 얼마 되지 않아 내부 정비가 필요했지만, 북한의 무력 통일이 성공하면 중국의 안보에도 유리할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김일성의 야심과 북한 내부의 전략, 소련의 승인과 중국의 묵인, 그리고 미국의 애매한 입장과 남한의 군사적 취약성이 맞물리면서, 북한은 전면적인 남침을 단행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