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왜 생기는걸까요?
매일 만보걷기로 해안가를 갑니다.
밀물 썰물을 볼때마다 너무 신기하네요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왜 생기는걸까요?
쉽게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해수면이 높아지고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해수면을 일으키는 조력이 서로 다른 조력들의 합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조력이란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의미하는데, 바다에서 조력으로 작용하는 것은 크게 태양과 달의 조력, 지구의 자전에 의한 복원력, 바람의 압력, 기압의 차이 등이 있습니다.
태양과 달은 지구 주변을 도는데, 이 때 태양과 달의 만유인력으로 인해 지구 위에 일어나는 조력을 만유인력조력이라고 합니다. 만유인력조력이 해수면을 높이는 것이고, 이 때 태양과 달이 일정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들의 만유인력이 서로 겹쳐져 합쳐져서 조력이 크게 작용하여 밀물이, 그리고 그들이 일정한 위치에서 멀어질 때에는 조력이 작아져 썰물이 일어납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바다 수면의 열적 성질의 차이로 인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바다는 지구에서 가장 큰 열 저장소 중 하나이며, 해양 표면은 태양의 복사로 매우 빨리 데워집니다. 따라서 낮 시간에는 바다 표면의 온도가 높아지고, 이는 열을 바다의 깊은 부분으로 전달시키게 됩니다.
바다 깊숙한 부분은 태양 복사에 의해 직접적으로 데워지지 않으므로, 더 차가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바다 표면과 바다 깊숙한 부분 간의 온도 차이가 발생하면, 조수층이 형성됩니다. 조수층은 일반적으로 200-1000 미터 이상의 깊이에 위치하며, 바다 표면과 조수층 간의 온도 차이가 큽니다.
따라서,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바다 표면과 조수층 간의 온도 차이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바다에서 중요한 기후 현상인 열대 폭풍과 같은 현상에 영향을 미칩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바다의 조수력과 해양 조류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우선, 지구의 자전과 태양, 달의 위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조력으로 인해 바다에는 지형적인 고저차가 발생합니다. 이를 조수력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바다에는 수온, 염분, 유속 등이 다양하게 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건에 따라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대류 현상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조류의 영향으로 바다의 수위가 상승하고, 하강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은 이러한 바다의 조수력과 조류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바다에서의 물의 이동은 지구 환경을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달의 인력에 있습니다 달이 가까워 지면 달의 인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는데 이때 밀물이 생기며 반대쪽 또한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밀물이 생깁니다 이때 달과 수직에 있는곳은 바닷물이 빠져 썰물이 생기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의 조수간만의 차이는 바다의 염분 농도 차이 때문에 생기는 것입니다.
바다는 태양의 열에 의해 물이 수증기 상태가 되어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대기 중으로 방출됩니다. 그리고 바다에서는 염분도 함께 상승합니다. 그런데 이 수증기와 염분이 대기에서 멀어질수록 냉각되면서 구름으로 변하고, 이 구름은 바람에 의해 멀리 이동하여 다시 물로 변합니다. 이 과정에서 염분은 대기에서 걸러지면서 바다와 대기 사이의 염분 농도가 조절됩니다.
하지만 바다가 있는 지역은 큰 지형적 특성이나 해류 등으로 인해 바다의 염분 농도가 다른 지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 바람에 의해 수증기가 올라갈 때, 다른 지역에서 수증기와 염분이 대기로부터 걸러져 내려오는 물과 섞이지 못하고 해당 지역에 머무르면서, 그 지역의 바다와 대기 사이의 염분 농도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 때문에 조수간만의 차가 생기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대기와 바다 간의 열 교환에 기인합니다. 바다는 열 용량이 크기 때문에 대기에 비해 더 많은 열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바다는 더디게 변화하며 대기와 달리 고르게 열을 저장하고 방출합니다.
따라서, 바다의 표면과 심부간에는 열이 차이가 나게 됩니다. 해양 표면은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심부는 더 낮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이로 인해,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조수간만의 차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바다의 대기와 바다 간의 열 교환이 지구의 기후와 기상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열대우에 대한 원인이 되기도 하며, 해류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는 바다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며, 어류 등의 서식지와 먹이 사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바다의 조수간만의 차는 지구 생태계와 기후 변화에 대한 이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간의 차가 생기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주요한 이유로는 열 변화, 공기와 물의 차이, 표면 장력, 그리고 물의 오염이 있습니다.
열 변화
: 물이 끓거나, 온도 변화에 따라 물과 공기 사이에서 열이 변화할 때 조수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공기와 물의 차이
: 공기와 물은 밀도와 열전도성이 다르기 때문에, 온도 차이나 습도 차이에 따라 물과 공기 사이에서 조수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표면 장력
: 물의 표면에는 표면 장력이 작용하여 물 분자들이 표면에서 더 높은 높이로 모이게 되는데, 이로 인해 조수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물의 오염
: 물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 물 분자와 물 사이에 상호작용이 감소하여 조수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 간만은 해와 달의 인력에 의해서 바닷물이 주기적으로 들어왔다 나갔다 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달의 인력 : 태양의 인력 : 기타 행성의 인력 = 1 : 0.43 : 0.000052 정도 된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지구와 달사이의 인력으로 인하여 조수 간만의 차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지구의 한 곳이 달과 가까와지면 물이 달의 인력에 의하여 올라와 밀물이 생기는 것이고
반대로 멀어지면 인력이 약해져 물의 수위가 낮아져 썰물이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수간만의 차이는 간조의 만조의 차이를 일컫는 것입니다.
밀물 썰물발생원리는 간단합니다.
달의 인력이 지구에 작용을 하여 지구와 달이 마주쳤을때 바닷물에 달에 세게 당겨져 물이 빠졌다가,
이후 지구자전에 의해 마주치는 면이 달라지면 기존에 당겨져갔던 물이 다시 원복이 되어 다시 차게되는 원리입니다.
우리나라외 다른나라에도 똑같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