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하아멘
아하아멘

우주 개발에 대한 질문을 드려봅니다.

인간이 화성에 정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면, 새로운 사회 규범과 법체계는 어떻게 형성될까요?

또한 화성에 정착을하면 지구처럼 살수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화성에 정착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과 난관이 있을 것 같습니다. 대기가 생명체에 적합하게 바뀌고 식물들이 어느정도 정착하게 된다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지구에서의 여러 사회규범이나 생활양식과 크게 다를 것 같지는 않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현재 우주조약에선 어떤 국가도 우주나 천체를 소요할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기에 화성 정착지는 국제적인 협력 아래 관리될 가능성이 매우 높겠지요~ 어떠한 국제 기구가 주도하는 법체계가 적용되게 될것이며 국가들간의 협력에 의해 형성될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국제우주정거장에서도 존재하며 여러 나라가 함꼐 관리하는 규범이 있습니다~ 화성은 지구처럼 자원이 풍부하지 않기에 사회 규범과 법체계는 자원을 ㅎ율적으로 관리하고 분배하는데 집중될것이며 물이나 산소 식량 등의 자원 관리에 대한 법적인 규제가 중요해지게 되겠지요~지구에서 화성까지의 물리적 거리로 인해, 화성 사회는 독립적인 거버넌스 모델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지구에서 실시간으로 통제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화성 정착자들이 자체적으로 민주적인 제도를 만들어 운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초기 식민지 사회처럼 자율적인 정부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화성에서의 생활은 인간에게 생물학적, 환경적 도전을 줄 것입니다. 생명 공학이나 의학 기술을 통해 인간이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겠지만, 이는 윤리적 쟁점도 수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적 가능성에 대한 규범과 법적 보호가 필요합니다. 화성은 지구와 비교해 매우 가혹한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기 중 산소가 없고, 방사선에 노출되며, 낮은 중력과 극심한 온도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환경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화성 거주지는 자급자족 가능한 폐쇄형 생태계를 갖춘 돔 형태의 구조물이나 지하 도시 형태로 만들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지구처럼 자유롭게 외부에서 생활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며, 인류는 주로 인공적인 구조물 내부에서 생활해야 할 것입니다. 물과 같은 필수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초기에 인류는 지구에서 자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화성 자체에서 자원을 채굴하고, 재활용 기술을 극대화하여 자급자족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화성에서의 생활은 자원 절약과 효율적인 사용을 중심으로 한 삶의 방식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