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요즘 채권에 투자해도 괜찮을지 궁긍 합니다.

미국이나 우리나라 모두 국가의 빚이 많이 증가하는데요. 이와중에 금리가 인하되면 채권에 투자하는것이 괜찮을지 궁금해서 질문오려 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목적이라면 지금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그 이유는 이미 금리가 높은 상황이고 앞으로 하락할 여지가 있기 때문입니다.

    • 만약 시세 차익을 노리고 있다면 단기적으로 보기 보다 내년까지 가져갈 생각으로 투자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내려가면 기존에 발행된 채권 값이 올라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타이밍만 잘 잡으면 꽤 안정적인 수익을 챙길 수도 있습니다. 다만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국가 부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어서 금리 인하가 단순하게 이뤄지지는 않을 거라는 얘기도 많습니다. 또 금리 방향을 예측하기가 주식보다 더 어렵다고 합니다. 보수적으로 접근한다면 만기 짧은 채권이나 분산 투자로 리스크를 줄이는 게 낫다고 판단됩니다. 장기물에 올인하기보다는 상황을 보면서 나눠 들어가는 게 안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현 상황에서 채권투자는 단기적으로는 매력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복합적 투자 기회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말은 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입니다. 즉 그렇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컨센서스가 잡히면 현재 3년이하 만기 미국의 단기채권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장기금리는 떨어지지 않고 4%이상에서 강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장단기금리차가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단기채권은 이미 빠르게 가격이 상승하면서 단기채권엔 유리하게 조성되고 있지만 결국 신용등급 강등우려나 재정적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물가도 상승압박이 지속되면서 미국이나 주요 국들의 장기적인 시각에서 부정적인것입니다.

    즉 그말은 현재에 있어서 10년이상의 장기투자는 매우 신중하게 접근하시고 10년미만의 중단기채권에 집중하는 전략이 위험성 측면에서는 맞다고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 금리가 인하되면 채권금리도 인하되고 채권 가격은 상승하게 되는데요. 보통 기준금리 인하시기엔 채권의 매력도가 낮아지지만, 요즘처럼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높을땐 채권 투자도 긍정적으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채권에 투자해도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와 우리나라라면 채권 투자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망하는 수준이라면 이미 전세계의 경제는 끝장 났다고 보시면 되고

    한국의 국가 부채가 증가하였지만 OECD 국가 중에선 가장 낮은 수준이기에

    문제되지 않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결론만 말씀들리면 금리 인하가 진행되는 국면에서는 채권 투자가 유리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국가 부채가 늘어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적인 안전 자산은 아니다 라는 점은 알고 계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