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으로 달러 헷지를 했다는데 어떻게 하는 건가요??
한창 환율이 높을 때 국민연금으로 달러 헷지를 해서
달러환율을 낮췄다던데 어떤 식으로 하는 건가요??
달러를 매입해서 시중에 팔던가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달러를
중앙은행인 한은에서 이를
통화스와프 등을 하는 등
이를 통하여 달러를 헷지한다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민연금이 달러 헷지를 했다는 것의 의미에 대한 내용입ㄴ다.
국민연금이 달러 헷지를 했다는 것은 환 헤지를 한 것으로
자체 판단에 따라 정해 놓은 일정 기준보다 환율 수준이 높게 되면
보유한 해외 자산의 일부를 선물환을 통해 매도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으로 달러가격 상승을 막았다는 것은 말씀하신대로 국민연금이 보유중인 달러를 시장에 매도하거나, 달러 가격상승에 풋옵션 등 가격하락압박을 주는 파생상품을 활용했다는 것을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외환당국이 국민연금을 활용해 달러 햇지를 했다는 것은, 국민연금이 해외투자 자산의 환위험을 줄이기 위해 달러 선물환 매도나 한국은행과의 외환스와프 계약(달러 차입 후 동일 가격으로 상환)으로 환율 상승 시 손실을 방어한다는 의미입니다. 이 과정에서 외환당국이 국민연금의 헷지 규모릉 지원하거나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은 환율이 일정 수준이 되면 전략적 환헷지를 실시합니다.
이는 해외자산 일부를 선물환으로 매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이 달러 환헤지를 한다는 것은, 환율이 급등할 때 환위험을 줄이고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특정 금융기법을 활용한다는 의미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식은 ‘선물환 매도’와 ‘외환스와프’입니다.
선물환 매도란, 국민연금이 미래에 정해진 환율로 달러를 팔겠다는 계약을 체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환율이 1,480원일 때 1년 뒤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지금 1,480원에 달러를 팔기로 계약을 맺습니다. 이렇게 하면 1년 뒤 환율이 내려가도 미리 정해진 가격에 팔 수 있어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실제로는 은행 등 금융기관이 국민연금의 선물환을 매수하고, 헤지를 위해 달러 현물을 해외에서 조달해 시장에 내다 팔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시장에 달러 공급이 늘어나 환율 하락 압력을 주게 됩니다.
또 다른 방식은 ‘외환스와프’입니다. 국민연금이 해외투자에 필요한 달러를 시중에서 직접 사들이지 않고, 한국은행과의 외환스와프 계약을 통해 한은의 외환보유고에서 달러를 빌려 쓰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국민연금이 시장에서 달러를 매수하지 않으니, 달러 수요가 줄어 환율 상승 압력이 완화됩니다. 최근에는 이런 스와프 계약이 1년 새 3배 이상 늘면서, 국민연금이 환율 안정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국민연금은 선물환 매도와 외환스와프를 통해 달러를 직접 시장에 팔거나, 시중에서 달러를 매수하지 않는 방식으로 환율을 안정시키고 환위험을 관리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장에 달러가 공급되거나 수요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환율이 하락하거나 급등세가 진정되는 효과가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은 보유한 해외투자 자산의 5%(250억달러)는 전술적 환헤지를, 최대 10%(500억달러)까지는 전략적 환헤지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