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8

왜 생선의 살들은 전부 흰색일까요?

왜 대부분의 고기는 붉은데 생선의 살만 흰색일까요?

물고기도 피가 있잖아요...

생선의흰살은 어떻게 해서 나타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방구는나가서
    방구는나가서22.11.28

    안녕하세요. 방구는나가서입니다.

    생선도 붉은살 생선과 흰살 생선으로 나뉩니다.

    흰살 생선이 필요한 능력은 순간적인 스피드입니다.

    먹이를 사냥하거나 포식자로부터 도망갈때 순발력을 필요로 합니다.

    이 때문에 백근이 많아요.

    또한 붉은살 생선과는 다르게 산소가 아닌 당을 에너지로 주로 쓰기 떄문에 미오글로빈이 적어 살이 흰색입니다.


  • 보통 육류 고기살은 붉고, 어류는 투명한 흰색을 띄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와 같은 비밀의 열쇠는 바로 육상 동물과 어류의 신체적인 차이에서 비롯된다. 육상 동물은 무거운 중력을 이겨내기 위해 튼튼한 다리와 근육을 가진 반면 물고기는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살아간다. 또 육상동물은 잠을 자는 경우를 빼 놓고는 잠시도 쉬지 않고 다리와 팔을 움직이며 생존을 하는데 반해 어류는 단지 부력에 의지한 채, 유유히 유영하는 것이 전부이며 가끔 먹이를 낚아챌 때 움직일 뿐이다. 많은 근육 운동을 하기 위해선 그에 비례하는 만큼의 산소가 소모된다. 하지만 단순한 호흡을 통해서는 원활한 근육 운동을 위한 충분한 산소가 공급될 수 없다. 코로 들어간 산소가 폐를 거치고 다시 근육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만만치 않을 뿐더러, 단번에 근육에 필요한 양만큼의 산소를 제공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동물들은 근육 내에 산소를 저장해 필요할 때마다 즉각 공급해 줄 수 있도록 진화해 왔다. 이렇게 근육에 산소를 저장하는 물질을 "미오글로빈(Myoglobin)"이라 하는데, 이 미오글로빈은 일종의 단백질로서 생체 안에서 근육 조직에 산소를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근육을 거의 쓰지 않는 어류에 비해 근육을 많이 써야 하는 육상 동물은 미오글로빈의 보유량이 어류에 비해 훨씬 더 많다. 이렇듯 미오글로빈의 보유량에 따라 근육의 색깔도 달라지는데 그 이유는 미오글로빈 자체가 붉은색을 띤 단백질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근육의 사용이 적은 어류는 미오글로빈이 거의 없어 살이 흰색으로 보이게 된다. 일부 붉은 살을 가진 어류들, 즉 참치 같은 것들을 보면 살이 붉은걸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어류에 비해 움직임이 다이나믹하며 이를 위해 다량의 미오글로빈을 함유한 근육이 많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