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원화는 기축통화가 될수가 없는건가요?
우리나라는 원화를 사용하는데요. 그래도 다들 달러를 기축통화로 생각을 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원화는 기축통화가 될수가 없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원화는 기축통화가 될 수 없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축통화의 조건으로는 해당 통화 발행 국가의 군사력, 외교적 영향력이 압도적이어야 하고
금 보유량이 많아야 하고
금융업이 발달된 첨단 금융 시장이 나라에 존재해야 하는데
한국은 이런 면에서 부족하기에 기축통화가 되기 어렵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원화가 기축통화가 되기는 매우 어렵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입니다. 기축통화는 국제적인 결제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를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충족해야 합니다. 기축통화 발행국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고, 국제 무역에서도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합니다. 깊고 넓으며, 투명하고 효율적인 금융 시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해당 통화로 표시된 다양한 금융 상품의 거래를 활발하게 지원하고, 국제 자금 이동을 용이하게 합니다. 물가와 환율이 안정적이어야 국제적인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큰 통화는 기축통화로 사용되기 어렵습니다. 한국의 경제 규모는 세계 10위권으로 상당하지만, 미국, 중국, 유로존, 일본 등 주요 기축통화 발행국에 비해서는 아직 작습니다. 국제 무역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높은 편이지만, 기축통화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원화(KRW)는 아직 기축통화로 인정받기 어려운 여러 구조적 제약이 존재합니다.
첫째, 국제적 사용 비중이 낮습니다. 글로벌 결제·투자·외환 시장에서 원화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외국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원화로 자금을 조달하거나 거래하는 경우도 드뭅니다.
둘째, 자유로운 환전과 자본 이동이 제한적입니다. 원화는 완전한 자유통화가 아니기 때문에 외국인이 자유롭게 원화를 이용한 금융활동을 하기 어렵고, 제도적으로도 해외에서 원화 표시 채권을 발행하려면 한국 정부의 사전 승인이 필요합니다.
셋째, 금융시장 개방도와 글로벌 신뢰도가 부족합니다. 기축통화가 되려면 해당 국가 통화에 대한 세계적 신뢰, 개방된 금융시장, 폭넓은 글로벌 네트워크가 뒷받침돼야 하지만, 한국은 이런 측면에서 아직 한계가 분명합니다.
결론적으로 원화의 국제화 가능성은 열려 있으나, 기축통화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금융시장 개방, 외환거래 자유화, 글로벌 네트워크 확충 등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변화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지금 당장은 현실적인 여건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와 더불어서
세계에서 원화로 무역대금 결제 등을
본다면 현실적으로 원화가 기축통화가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불가능하지요 그러나 미국처럼 하나하나씩 빌드업을 해 나간다면 완전히 불가능할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항상 주장했던 것들이 전 세계에 케이팝 소비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기는 하지만 한국 한국만의 유튜브 셀럽 한국 원화로만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케이팝을 소비할 수 있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나라는 유튜브나 해외 영상 편집 프로그램 등을 할 때 달러를 결정하게끔 만들어 놨습니다 우리가 만든게 아니고 미국이 그렇게 만든 겁니다 한국의 콘텐츠를 이용하려면 원화를 결제하게끔 만들고 이렇게 하나하나 만들어 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축통화는 불가능하겠죠 하지만 준 기축까지라도 갈 수 있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입니다. 기축통화가 되려면 법정화폐에서도 그나마 가치 보존이 잘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널리퍼질수 있습니다.
법정화폐의 가치는 해당 국가의 힘에서 나옵니다. 경제력과 물리적으로 지켜낸 군사력 등입니다. 지금의 법정화폐는 뒤에서 가치를 받쳐주는 금도 없습니다. 오직 국가의 신용에 의해서 가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초강대국에 비해서는 인구도 적고 자원도 적습니다.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원화는 전세계적인 사용량이 높은 통화가 아닙니다. 또한 석유-달러 관계처럼 전세계에서 필요로 하는 상품의 거래 화폐가 아니기 때문에 기축통화가 되기는 어렵습니다. 기축통화는 전세계가 다같이 사용해야만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는 통화는 안정성과 널리 사용되는 통용성이 잇어야되나 우리나라 원화는 안정성과 통용성이서 아직 부족한 것이 사실이고 이를 위해서는 경제규모의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수출입 비중이 높기 때문에 환율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큽니다. 또한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작기 때문에 기축통화가 되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가 기축통화가 되려면 모든 국가가 인정하는 국력을 갖춰야 하는데 여기서 국력은
국방력과 정치적인 안정, 경제적인 규모를 모두 함축하고 있습니다.
이런면에서 우리나라는 많이 밀리고 있기 때문에 기축통화로의 인정은 사실상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축통화는 세계 모든 나라가 사용하는 통화가 기축통화가 됩니다.
3자 환전시 모든 나라가 직접적으로 환전하는 거래소등이 없기 때문에 너도나도 다 사용하는 통화를 통해서 거래를 하고 그것이 달러인것입니다.
기축통화가 달러라고 정해져 있는 정의는 없지만 국가나 화폐의 신용, 경제성, 화폐의 사용빈도등을 고려해볼때 달러외에는 기축통화라고 할만한게 없습니다.
우리나라 원화가 기축통화가 될 가능성은 거의 없지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원화는 기축통화가 될 수있냐는 질문에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기축통화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거래나 무역 등에 활용되어야 합니다. 현재 기축통화로 정해진 것은 달러, 유로, 파운드, 위안화, 엔화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원화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에서 전세계적인 사용량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전세계에서 활용이 덜되는 만큼 신뢰도 등의 인식에서 부족한 부분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원화는 현실적으로 기축통화가 되기 어렵습니다. 기축통화가 되려면 세계적으로 안정된 경제력, 강한 금융시장, 높은 통화 신뢰도, 자유로운 자본 이동 등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하지만 원화는 국제 거래에서 사용 비중이 낮고, 외환시장 유동성도 제한적이며, 자본시장 개방 수준도 선진국 대비 제약이 많습니다. 따라서 달러, 유로, 위안 같은 통화에 비해 글로벌 통화로 인정받기에는 기반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의 조건은 통화가 자유 교환성 내지 광범한 자유 대체성을 보유해야 하고, 통화 가치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국제적 신뢰가 두터워야 합니다. 또한, 국제 결제통화로서의 수요도와 공급도가 높아야 하며, 해당 국가의 금융시장이 국제 금융시장으로서의 기능과 조직을 충분히 구비해야 하는데요.
위 조건을 원화는 갖추지 못했기에 기축통화가 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축통화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국제적 사용 빈도와 경제규모, 글로벌 영향력입니다.
우리나라 돈은 우리나라 외에 사용되는 국가가 거의 없습니다. 국제 원화 결제 비중은 0.2%도 안됩니다.
많이 써야 기축통화가 될 수 있으며 경제 규모 또한 다른 기축통화 달러, 유로화, 엔화에 비해 작은 규모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축통화가 될수 있는 요소가 하나도 없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