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태어나면 추위에 강하다는 것이 과학적 근거가 있는 이야기 인가요?
오늘 친구와 밖에서 만나게 되었는데요.
너무 춥다고 하는거에요.
근데 저는 하나도 안추웠거든요.
그래서 안추운데? 라고 했더니 너는 겨울에 태어나서 그런거라고 하더라구요.
농담인줄알고 말도 안되는 소리하지말라고 했더니 진지하게 근거가 있는 소리라고 하더라구요.
언젠가 티비에서 나왔다고 합니다.
겨울에 태어난 아이는 추위에 어느정도 내성을 가지고 태어 난다고요.
반대로 여름에 태어난 아이는 더위에 어느정도 내성을 가지고요.
이게 정말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이야기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태어난 아기가 추위에 강한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과학적인 근거가 없습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아기의 체온 조절 능력이 태어난 직후부터 점진적으로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겨울에 태어난 아기라도 체온을 유지하는 능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추위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개인의 체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무조건적으로 겨울에 태어난 아기가 추위에 강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 태어난 아기가 추위에 강하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겨울에 태어난 아기들이 추위에 강하다고 여겨지는 이유는, 이들이 태어날 때부터 추운 날씨에서 자라면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을 배웠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이유 중 하나는 겨울에 태어난 아기들이 어머니의 유방에서 먹는 모유가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근거 없는 이론입니다. 신생아들은 보통 그에 적합한 온도에서 성장하게 됩니다. 밖의 온도와는 상관이 없죠. 하지만 추운 날씨가 많은 지역에 사는 아이의 경우 부모님의 유전자가 전달되어 추위에 강력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에 태어난 아기가 추위에 강하다는 속설은 일부 사람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믿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아기는 체온 조절 기능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온도 변화에 민감합니다. 이에 따라 아기가 추운 날씨에서 생존하려면 따뜻하게 옷을 입히고, 적절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출생 후 첫 몇 주 동안에는 감기나 호흡기 감염병 등의 감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아기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외출 전에 예방접종 등을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아기가 추위에 강하다는 속설은 거짓이며, 적절한 옷차림과 실내 환경 관리를 통해 출생 후 첫 몇 주 동안의 아기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태어났다고 추위에 강한건 아닙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4계절이 있기때문에 겨울에 태어난게 생물학적 변화를 야기하지는 않죠.
단 추운지방에서 태어나면 인체가 열을 더 확보하려고 적응해서 신체에 피하지방이 두꺼워지는등 추위에 강할수는 있습니다. 러시아나 북유럽이 이에 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어난 계절만 가지고는 더위에 강하다, 추위에 강하다라고 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체내 지방과 근육의 함량과 식습관이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