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상속세

겁나유식한떡갈비
겁나유식한떡갈비

부모님께 집을 사주고 다시 상속받는 경우 어떻게 되나요?

부모님이 집이 없으셔서 제가 집을 대신 사드리고

증여세가 발생하고 나서

나중에 부모님이 돌아가셔서 그 집을 다시

저에게 상속을 하게 되면

그것도 상속세를 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자녀가 부모님의 위하여 부모님 명의로 주택을 취득한 이후에 부모님의

    유고에 따라 해당 주택이 상속이 되는 경우 피상속인(=돌아가신 분)의

    상속재산으로 보아 상속인은 상속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

    즉, 자녀가 부모님에게 재산을 증여한 것과 부모님이 해당 재산을 상속

    하는 것은 별개의 사안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자녀로부터 증여받은 주택을 소유한 채 상속이 이루어진다면 해당 주택은 상속재산이 되는 것이므로 상속세 과세표준에 포함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질문과 같은 상황에서 증여로 취득한 재산도 추후 상속 개시하면 상속재산으로 상속세 과세 대상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부모님 사망당시, 해당 주택이 부모님 명의라면 상속세 신고 대상이기는 합니다. 만약, 피상속인 사망당시 재산이 5억(배우자까지 있을 경우 10억)이하라면 상속세는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