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4

경기동향지수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요.

경기동향지수는 어떤 지표들을 종합해서 지수화 하는지, 어떻게 해석을 해야하는지도 궁금해요. 그리고 지수를 활용한 투자전략은 어떤게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옥연 경제전문가blue-check
    김옥연 경제전문가23.11.14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동향지수라는 것은 경기가 변화하게 되는 변동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경기동향지표를 통해서 정부, 기업들은 향후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정보로 활용하게 되는데, 경기동향지수는 제품, 노동등에 대한 통계를 정리해서 작성하여 지표를 만들게 되요.

    경기동향지수를 통해서 파악하게 되는 것은 경기의 '방향성전환'으로서 보통 경기동향지수가 50% 선을 위에서 아래로 넘어서는 시점을 경기의 정점으로 판단하게 되며, 50% 이하인 경우에는 경기후퇴라고 판단하게 되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복잡한 경제활동 전체를 '경기'로서 파악하기 위해 제품·자금·노동 등에 관한 많은 통계를 정리·통합해서 작성한 지수.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동향지수(Diffusion Index)란 경기종합지수와는 다르게 경기변동의 진폭이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방향만 파악하는 지수로 경기확산지수라고도 합니다.

    경기국면과 전환점을 판단할 때 유용하게 이용되며, 경기종합지수와 같이 선행과 동행, 후행 3개군으로 구분됩니다.

    계절변동과 불규칙요인들이 제거된 총 계열에서 전월보다 증가한 지표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나타냅니다.

    즉, 총구성지표 수에서 차지하는 증가지표 수와 보합지표 수를 파악해 0에서 100의 수치로 표시됩니다.

    이 지수가 50을 넘어가면 경기가 확장국면으로 들어선 것을 의미하고, 50 아래로 떨어지면 경기가 수축국면에, 50이면 경기 전환점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기확산지수라고 하는데 수개월 전과 현재를 비교하여 증감을 나타내고 미래 전망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경기후행, 동행 및 선행지수로 나뉘는데 주식 투자 등을 위해서는 동행 및 선행 지수에 집중하면 됩니다. 대표적인 경기 동행 지표는 다양한 물가지표와 제조업 관련 지표이고 경기 선행 지표로는 실업율, 재취업수 및 실업수당 신청 수 등이 있을 수 있는데 미국 같은 고용 탄력성이 매우 큰 국가에서는 동행지수에 가깝고 고용 탄력성이 미국 보다 떨어지는 유럽이나 한국 등은 선행지표에 가깝습니다.

    각 지표의 중요성은 해당국과 글로벌 경제 현황에 따라 양상이 매우 다릅니다. 작년부터는 고물가와 고금리 때문에 물가지표가 매우 중요시 되었습니다. 자산 시장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금리인데 금리 인상 여부가 CPI 같은 물가지표가 기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 상당히 어렵네요!

    경기동향지수를 쉽게 말해 다른말로 확산지수라고도 합니다.

    이는 경제의 기운의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내는 지수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경기의 움직임을 알아내는 경기지표의 하나로 경제의 변동을 관측할때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일단 그러면 경기를 측정하는 20개의 지표를 100으로 기준을 정하고 10개 이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면 100의 반인 50이상을 초과했다고 보면됩니다. 이때 경기가 좋다라고 말합니다.

    만약 지수가 50% 선을 위에서 아래로 넘어가는 시점을 경기 피크로 보고 50%이하에서는 경기후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지표는 여러 전문가 및 의사결정자들이 사용을 하는데 미래 경제 환경에 대해 예측하고 적절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 사용합니다.

    경기동향지수가 증가하고 있으면 이에 따라 투자 및 고용확대로 이어집니다.

    반대로 경기동향지수가 하락하고 있으면 경제가 침체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cf)각종 지수 몇가지만 나열해보면 서비스업생산지수 / 설비투자지수 / 수출액 / 수입액 / 취업자수 / 소매판매액 / 소비자기대지수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경기동향지수는 지수가 50% 선을 위에서 아래로 넘어서는 시점을 경기의 피크(peak:정점)로 보며, 50% 이하에서는 경기후퇴의 계속이라고 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