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왜 전체적으로 보면 초식동물들이 몸집이 큰 이유가 뭘까요?

우리가 동물들을 살펴 보면 육식 동물 보다 초식동물들이 전체적으로 몸집이 큰것을 볼수 잇는데요.

고기를 먹는것도 아닌데 몸집이 왜 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네, 질문주신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초식동물이 육식동물보다 몸집이 큰 경우가 많은 이유는 생태학적, 진화적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요, 우선 가장 큰 이유는 식물은 소화가 어렵고 양이 많이 필요해서 몸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식물은 섬유질(셀룰로오스)이 많아 소화하기 어려운데요, 따라서 초식동물은 소화기관이 매우 크고 복잡해야 하며, 오랜 시간 먹고 또 소화해야 하며, 이처럼 소화계가 크다 보니 전체 몸집도 커지게 되는 것입니다. 즉, 소화기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진화적 선택이 몸집을 키우게 된 것입니다. 또한 초식동물은 계속 먹어야 하므로 이동 효율을 위해 큰 크기가 유리한 것입니다. 식물은 흩어져 있거나 넓은 영역에 분포해 있기 때문에 초식동물은 넓은 땅을 이동해야 합니다. 몸집이 크면 걷는 효율이 좋아지고 이동 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긴 다리로 장애물도 더 쉽게 넘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큰 몸집은 천적에게 위협을 주거나 포식의 어려움을 증가시키며, 또한 무리를 지어 행동하면 크기가 집단 방어 효과를 더욱 강화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풀은 영양밀도가 낮아 많이 먹어야 한답니다.

    큰 몸으로 소화기관을 키운 결과로 추론되는거죠

  • 초식 동물이 먹는 먹이의 특성도 있지만, 포식자로부터 몸을 방어하기 위한 것도 있습니다.

    초식동물이 먹는 풀이나 나뭇잎 등 식물성 먹이는 고기에 비해 단위 질량당 에너지 함유량이 매우 낮습니다. 즉, 같은 양을 먹어도 고기만큼의 에너지를 얻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초식동물은 몸을 유지하고 성장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풀을 먹어야 합니다.

    게다기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스는 매우 질기고 소화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를 소화하기 위해 초식동물은 매우 길고 복잡한 소화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여러 개의 위나 긴 창자를 가지고 미생물의 도움을 받아 소화를 시킵니다. 이러한 거대한 소화기관을 몸 안에 지니려면 몸집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죠.

    또 몸집이 크면 포식자의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데 유리합니다.

    작은 초식동물은 포식자에게 좀 더 쉽게 사냥당할 수 있지만, 코끼리나 코뿔소처럼 덩치가 큰 초식동물은 포식자들이 쉽게 공격하기 어렵죠.

  • 초식동물이 육식동물보다 몸집이 큰 주된 이유는 풀과 같은 식물성 먹이의 낮은 영양 효율성 때문입니다. 식물은 육류보다 단위 질량당 에너지 함량이 낮고 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초식동물은 필요한 영양분을 얻기 위해 훨씬 많은 양을 섭취해야 하며, 이를 소화시키기 위해 복잡하고 긴 소화기관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몸집이 클수록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데 유리하며, 진화적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몸집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초식동물은 소화가 어려운 풀과 나뭇잎을 대량으로 섭취하고 효율적으로 소화하기 위해 큰 몸집과 긴 소화기관을 발달시켰습니다. 또한, 큰 덩치는 포식자로부터의 방어와 넓은 지역을 이동해 먹이를 찾는 데도 유리하기 때문에 육식동물보다 전체적으로 몸집이 큰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