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별이 유난히도 밝은...
별이 유난히도 밝은...

주식거래 용어중 공매도라는 말을 자주 듣거나 영상으로 보는데 공매도란 주식거래상에서 무엇을 뜻하는지요?

주식거래 사진 및 미디어(동영상등)를 통해 주식거래 상황을 수시로 접하는데요 주식거래 용어중 공매도란 단어를 자주 보거나

듣게됩니다.

주식전문 용어인듯 한데 공매도란 어떤의미의 단어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공매도를 쉽게 생각하면 주식을 빌려서 다시 주식으로 갚는 과정입니다.

      • 신용매수는 돈을 빌려서 주식을 매수하고 다시 돈으로 갚게 되지만 공매도는 반대로 주식으로 갚기 때문에

        내가 빌렸던 주식의 가격 보다 현재가 낮아져 있으면 그 차익만큼 이익을 보게됩니다.

      • 따라서 공매도는 가격이 떨어질수록 이익이 커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글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이다. 개인 혹은 단체가 주식, 채권 등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매도한 주식·채권은 결제일 이전에 구매해서 매입자에게 갚아야 합니다. 주가하락이 예상되는 시점에 시세차익을 내기 위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공매도라는 단어는 현재 없는 재화나 물건 그리고 주식등을 빌려서 파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높은 가격에 팔았던 주식을 나중에 주식가격이 떨어지게 되면 저렴한 가격에 사서 빌렸던 주식을 되갚아 주면서 차익을 남기는 매매방법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이러한 공매도를 통해서 얻게되는 수익기법은 현재의 가격보다 향후의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바탕이 될 때에 실행하게되며 실제로 주가가 하락하게 되는 경우에는 수익을 거둘 수 있으나 만약에 주가가 생각과 다르게 크게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승하는 만큼 무제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는 투자기법입니다.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올리는 방법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서 설명 드리도록 할게요

      • A주식의 현재가격이 10,000원인 향후 악재 발생으로 가격하락 가능성이 높은 상황

      • A주식에 대해서 B에게 100주를 빌려와서 공매도를 실행 (100주 X 10,000원 = 100만원)

      • A주식의 주가가 크게 하락하여 5,000원까지 하락

      • A주식을 100주 매수 (100주 X 5,000원 =50만원)

      • A주식을 빌렸던 B에게 돌려주면서 소정의 수수료 지급비용을 차감

      • 공매도를 통한 이익금 = 50만원 - 공매도 수수료

      즉 위와 같이 향후 주가가 하락하게 된다면 공매도를 한 사람은 높은 가격에서 주식을 팔았던 것과 낮은 가격에서 주식을 매입한 가격의 차액만큼 이익을 보게 되는 구조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는 주식 시장에서 특정 주식을 빌려서 그 주식을 판매한 후, 가격이 떨어지면 다시 주식을 매수하여 대여한 주식을 반납하고 차익을 얻는 거래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는 특정 주식 종목의 주가 하락을 예상하여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의 방법입니다.

      단기 차익을 노리는 거래의 바익으로 향후의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값에 결제일 내에 주식대여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얻게 되는데, 과거 기관, 외인들의 전유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개인도 공매도 거래가 가능하게 법규가 바뀐 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측되는 종목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와서 이를 매도하고

      추후 주가가 떨어지면 다시 이를 사들여 이를 갚음으로써

      그 차익을 추구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