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목마른퓨마215
목마른퓨마215

단백질섭취가 치매발병과 관계있습니까?

알츠하이머가 뇌에 이상단백질이 쌓이는거 아닌가요?

그게 왜 쌓이는건가요?

노화에 의해 쌓이나요?

그러면 90이 넘어도 치매가 안오는 경우는 어떻게

설명이되나요?

단백질섭취가 치매예방에 도움이되는지가 질문의요지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노화와 퇴행성변화로 인해 베타아밀로이드를 포함한 단백부산물의 배출이 막혀서 생기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어도 배출구가 막히지 않고, 뇌가 위축되지 않은 노인분들은 치매가 안올 수도 있겠지요.

      꾸준한 단백질 적정량 섭취와 운동은 근감소를 막고 치매를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단백질과는 큰 관련이 없고 노화현상입니다.

      치매의 증상으로는 기억력 저하, 언어장애, 시공간 파악 능력 저하, 계산 능력 저하, 성격변화와 감정변화 등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생 기전이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고,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도 없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것은 두뇌 회전을 많이 시킬 수 있는 놀이나 독서입니다. 건전한 수준의 게임, 바둑, 카드놀이와 같은 종합적인 인지 능력을 요구하는 놀이가 건망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신문,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것이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건강한 식습관을 가지고 생선과 야채를 즐겨 먹어야 합니다.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꾸준한 걷는 운동은 인지 기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단백질섭취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닌 뇌세포 내에 부적절한 단백질은 제거하는 기전이 손상되며 특정 단백질이 축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세포의 손상을 회복하는 기전에 해당하며 유전적으로 해당 기전이 더 강한 사람도 있습니다. 단백질섭취가 치매예방에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 알츠하이머병이 뇌에 이상 단백질이 쌓이는 질환이 맞지만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습니다. 노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은 맞지만 반드시 노화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단백질 섭취와 큰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큰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먹는 단백질과 치매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과는 다른 성분이랍니다. 그래서 단백질 섭취가 많다고 해서 치매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지요. 치매와 관련된 단백질인 베타 아밀로이드는 주로 노화와 관련된 증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유전이나 불면과 같은 여러 악화 요인도 작용을 하지요. 노화에 의해서 베타 아밀로이드가 쌓이면 치매의 위험이 증가하기는 하나 모든 사람이 나이가 든다고 노화로 인한 변화가 유발되는 것은 아니랍니다. 그래서 최대한 퇴행성 변화를 예방하기 위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결국 단백질 섭취는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