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푸른눈테해오라기05
푸른눈테해오라기05

경제 기사 읽을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경제 용어 몇가지와 쉽게 경제 용어 이해하는 방법이 있나요?

최근 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환율 변동 같은 경제 뉴스가 나오는데 기사를 읽어도 내용이 어렵게 느껴집니다.

경제 초보자가 뉴스나 기사에서 자주 나오는 기본 용어 몇가지를 꼭 알아야 한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경제용어700선이라는 것을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해당 용어들만 이해하셔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 기사 읽을 때 꼭 알아야 할 경제 용어 몇 가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에는 FOMC, 연방준비위원회, 기준 금리 등이 핫 이슈입니다.

    FOMC란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의미하며 이는 곧

    미국의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곳입니다.

    기준 금리란 각 국의 중앙은행과 시중의 금융 기관들이 돈을 주고 받을 때에

    기준이 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기사에 기본 경제용어는 너무나도 많습니다 하루 아침에 단기간에 알수 없는 방대한 양이죠

    그러니 모르는 경제용어가 생길때마다 하나씩 검색해서 찾아보시는걸 추천합니다 그렇게 몇년 하다보면 대부분의 내용을 이해하지 않을까 싶거든요!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관련 용어들은 꽤 다양하고,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어느정도 공부를 하거나 이해하는 것은 필요합니다.

    이에 개인적으로는 테셋이나 매경테스트를 통해 기초적인 공부를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공부를 하시면서 경제신문이나 기초경제를 다루는 유튜브를 함께 보시면 좀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워낙 많은 경제용어가 있기에 정답은 없으나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경제용어 700선 정도는

    모두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기본 용어로는 금리, 인플레이션, 환율, GDP, 경기침체, 유동성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금리: 돈을 빌릴 때 내는 ‘이자의 비율’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고 소비와 투자가 줄어드는 반면, 내려가면 돈이 시장에 풀려 경기가 활발해짐

    인플레이션: 물가가 전반적으로 오르는 현상으로, 생활비 부담과 통화가치 하락을 의미

    환율: 우리 돈과 외국 돈의 교환 비율을 말하는데,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출기업에는 유리하지만 수입물가가 올라 생활비에는 불리하게 작용

    GDP: 한 나라의 일정 기간 경제활동 총량을 보여주는 지표이고, 경기침체는 GDP가 줄어드는 상황을 뜻함

    유동성: 쉽게 현금화할 수 있는 자금을 의미하며,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풍부하면 주가나 부동산이 오르는 요인이 되기도 함

    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기사를 읽을때 모르는 단어가 많이 나오게 된다면 이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러한 상황에서 알아야 할 용어는 인플레이션은 화폐 대비 물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부담을 주기도 합니다. 디플레이션의 경우 물가가 떨어지는 것으로 사람들은 소비가 감소하는데, 이는 앞으로 물가가 더 떨어질것이라는 기대에 따른 것으로 내수시장의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gdp라고 하는 국내총생산의 경우 특정 국가 내에서 보통 1년이라고 하는 일정한 기간동안 얼마나 많은 생산이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느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많이 나오는 기준금리입니다. 한국은행이 시중은행과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기준이 되는 금리가 기준금리이며, 이 금리는 초단기물 금리이며 일반적으로 시중금리는 중장기 금리이며 금융채5년 국고채 3년 5년물 이런게 시장금리입니다.

    즉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리를 시중금리라고하며 기준금리는 이미 확정되어 적용되는 금리라고 보시면됩니다.

    다음은 인플레이션으로 통화가 팽창한다는 의미로서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리고 환율도 주용하며 두나라의 화폐의 교환비율로서 환율이 올라가면 원화가치가 하락하는것이고 환율이 내려가면 원화가치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GDP라는 국내총생산이라는 지표는 한나라에서 1년동안 생산된 모든상품과 서비스의 총가치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