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푸른고릴라153
푸른고릴라153

조력발전의 원리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조력발전의 원리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제가 듣기로는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해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라고 알고 있는데 구체적인 작동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조력 발전은 물을 가두는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밀물이 발생할 때, 물이 들어오면 물을 가두었다가

    썰물 시간에 문을 열어서 물을 내보내면, 이 힘으로 인해 터빈(엔진)을 돌려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일때 한번

    썰물일때 두번

    물이 들어오고 나갈때 그 수로에 터빈을 위치시켜

    밀물과 썰물의 힘으로 터빈을회전시켜 전기에너지를 얻게됩니다.


    아래그림은 현재 준공까지완료된 시화호 조력발전소 단면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발전방식 : 바다의 밀물(만조)과 썰물(간조) 시 발생하는 외해와 내해의 수위차를 이용해 수차 발전기로 전기를 생산하는방식

    원리 : 바닷물을 가두었다가 댐의 수문을 열어 수력발전과 같은 원리로 전기를 생산.

    세부내용

    • 조석이 발생하는 하구나 만을 방조제로 막고 발전기를 설치한 뒤, 밀물(만조) 때 해수가 들어오면 수문을 열어 방조제 안에 물을 가둔 뒤 수문을 닫는다.

    • 그러다가 썰물이 되면 수문을 열어 가둬 두었던 물을 방류해 발전기의 터빈을 돌리게 된다.

    • 이는 물이 한꺼번에 방류되면서 발전기의 터빈을 돌려 전력이 생산되는 원리로, 해양에너지에 의한 발전방식 중에서 가장 먼저 개발됨.

    운영현황 : 현재 개발 가능한 조력자원을 보유한 국가는 프랑스의 랑스(1967년 완공, 용량 20만kW)발전소와 캐나다의 아나폴리스(1986년 완공, 용량 2만kW) 발전소 정도다.

    우리나라 : 경우 경기도 안산에 소재한 시화호에서 조력발전소가 2011년 8월 전력 생산에 들어갔다. 2004년 12월에 시작된 이 발전소 건립은 2010년 4월 완공되어 단계별 시험운전을 거쳤다. 이 발전소는 50만 명에게 공급이 가능한 하루 25만 4000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기존 최고 규모인 프랑스의 랑스발전소보다 더 많은 전력 생산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