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고대사람들은 왜 상대적으로 충치를 왜 많이 없었을까요

고대시기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충치가 많이 없었다고 하는데요 왜 충치가 상대적으로 많이 없고 충치를 고생한 흔적이 잘 안보이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대인들에게서 상대적으로 충치가 덜 발견되는 현상은 그들의 식습관과 생활환경에 의한것으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충치(치아우식증, dental caries)는 주로 구강 내 박테리아가 당분을 발효하여 생성한 산(acid)이 치아의 법랑질을 침식하면서 발생하는데, 고대인들의 식단은 오늘날과 매우 달랐습니다. 고대인은 가공된 설탕이나 정제 탄수화물을 거의 섭취하지 않았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충치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은 이러한 가공된 당분인데, 고대인들은 주로 자연 상태의 음식(채소, 과일, 견과류, 고기 등)을 섭취했기 때문에 구강 내 박테리아가 산을 생성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습니다.
    또한 고대인은 거친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했는데, 이러한 음식은 자연적으로 치아를 마찰하여 플라그(plaque)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치아에 산을 생성할 기회가 줄어들어 충치가 덜 발생하게 됩니다. 현대사회에서는 가공된 식품을 섭취하는 빈도가 높고, 설탕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 일상적으로 소비되므로, 충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 것입니다.
    이와 함께 고대인들의 생활 방식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대인의 기대수명은 고대인들에 비해 훨씬 길기 때문에, 고령에서 발생하는 충치나 치주 질환가 같은 문제들이 고대 사회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고대인들이 40대에 접어들기 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성인이 되어서 발생할 수 있는 충치나 치주 질환의 빈도가 낮았을 수 있습니다.

  • 고대인의 충치가 적었던 주요 이유는 식습관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고대인은 현대인처럼 정제된 설탕이나 탄산음료를 섭취하지 않았습니다. 당분은 충치의 주범인데, 고대인들은 주로 자연식을 섭취하며 정제된 당에 노출될 기회가 적었습니다. 또한 과일이나 채소, 곡물 등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주로 섭취하여 치아 표면에 음식물 찌꺼기가 덜 붙었고, 침 분비를 촉진하여 자연스럽게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했습니다.

    더우기 평균 수명이 짧아 충치가 발생할 시간적 여유가 적었을 수도 있습니다.

    또 일부 연구에는 현대인과는 다른 구강 미생물총을 가지고 있어 충치 발생률이 낮았을 가능성도 주장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상대적으로 충치가 많이 없었다기 보다 충치의 개념이 없다보니 충치를 이상한 것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다만, 고대에도 현대를 깜짝 놀라게 할 치과 기술이 사용된 적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 에트루리아인들은 동물의 이빨과 금박을 사용하여 의치를 박아 넣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고대 사람들에게 충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이유는 주로 그들의 식습관과 관련이 있습니다. 당시에는 설탕이나 정제된 탄수화물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현대인들처럼 충치를 유발하는 세균이 활발하게 활동할 환경이 덜 조성되었습니다. 고대인들은 주로 섬유질이 풍부한 자연식품을 먹었기 때문에 치아에 남는 음식 찌꺼기가 적고, 구강 건강을 더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거친 음식을 씹으면서 자연스럽게 치아가 닦이는 효과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