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4

한국사 이조전랑이라는 것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한국사 조선시대에 이조 전랑이라는 말이 나오던데

이조 전랑이라는 것이 뭔가요?

그 당시에 어떤 역할을 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이조의 정5품 정랑과 정6품 좌랑을 합쳐 부른 말입니다.

    이조전랑은 조선시대 6조 중 하나인 이조의 관직 이름으로 정5품 정랑과 정6품 좌랑을 합쳐 부른 말이다. 품계는 낮았지만 각 부서의 당하관의 천거, 언론 기관인 삼사의 관리 임명, 재야인사의 추천, 후임 전랑의 지명권 등을 가지고 있어 권한이 매우 강했다. 전랑직은 중죄가 아니면 탄핵받지 않았고, 퇴임 후에는 정승으로의 승진이 보장되어 있었다. 이처럼 인사권과 언론권이 전랑에 집중되어 전랑직을 누가 차지하느냐에 따라 권력의 향배가 결정되었다. 1575년(선조 8년) 심의겸(沈義謙)과 김효원(金孝元)의 대립으로 동서(東西) 분당이 일어나게 된 것도 전랑직 임명이 계기가 되었다.

    이후 정랑직을 둘러싼 붕당 간의 대립이 격화됨에 따라 1685년(숙종 11년) 전랑의 후임 전랑 지명권을 폐지하였으며, 1741년(영조 48년)에는 전랑의 삼사 관리 임명권을 약화시키고 정원을 각각 3명에서 2명으로 줄였다. 이에 따라 전랑의 권한은 차츰 약화되었고, 상대적으로 대신들의 권한이 확대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조전랑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23.05.14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조전랑은 조선 시대의 관직으로, 중앙 부서인 6조 중 하나인 이조의 관직입니다.전랑이란 정5품 정랑과 정6품 좌랑을 합쳐 부른 말입니다. 비록 관직이 낮았지만 여론 기관인 삼사의 관리를 임명하고 자신의 후임을 추천할 수 있어서 그 권한이 매우 강했습니다. 그러므로 명망 있고 젊은 문신 중에서 선임되었고, 중죄가 아니면 탄핵받지 않았으며 전랑을 거치면 대개 재상까지 오를 수 있었습니다.



    조선 시대의 관리 임명 권한은 삼정승이 있는 의정부에게 있지 않고 이조에 속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조의 수장인 이조판서는 삼정승보다 큰 권한을 누렸습니다. 이런 이조판서의 인사권 전횡을 방지하기 위하여 삼사 관리 추천권만은 이조정랑에게 전권을 주었습니다.왕권과 유력 신권을 견제하기 위해서 감시하고 탄핵, 감찰하는 삼사의 인사권이 재상이나 이조판서에게 있으면 자기사람을 심어서 권력을 남용할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처럼 인사권과 언론권이 전랑에 집중되어, 전랑직을 누가 차지하느냐에 따라 권력의 향배가 결정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 이조의 정랑(정5품)과 좌랑(정6품)을 함께 이르던 말이니다. 이조의 정랑과 좌랑은 각 부서의 당하관(堂下官) 관원을 천거, 재야인사 추천 권한을 가진 직책으로 전랑(銓郞)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특히 이조정랑(吏曹正郞)은 사정기관인 삼사(三司) 관리의 추천권을 가진 핵심 요직으로, 품계는 낮았으나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 그러므로 명망 있고 젊은 문신 중에서 선임되었고, 중죄가 아니면 탄핵받지 않았으며,전랑을 거치면 대개 재상까지 오를 수 있었다고 전해 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조전랑은 이조의 하급관리 천거의 핵심자리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5품의 정랑과 6품의 좌랑을 통칭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하급관리의 천거, 재야인사의 천거는 물론 삼사의 청요직 인사등용에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삼사는 조선시대 언관직으로 신하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기관으로 왕권을 견제할 수 있는 기관이었습니다.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을 말하는데 각각 감찰, 간언, 자문 등의 역할을 했으며 이 기관에서 일하는 것이 3정승 등 고위직 승진의 코스로서 인기가 많은 곳이었습니다. 이 삼사에 진출하려면 이조정랑의 추천이 중요했으므로 붕당 싸움의 핵심이자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자기 붕당 인사를 3사에 등용하러면 자기 붕당 사람을 이조전랑에 앉히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이조전랑은 후임자 추천권도 갖고 있어 붕당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조에 배속된 관원들 중 정5품 정랑 3인과 정6품 좌랑 3인을 통칭하여 전랑(銓郞)이라 불렀다. '전(銓)'이란 저울을 뜻하는 말로, 이들 정랑과 좌랑이 인선 과정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알맞은 사람을 저울질하여 추천한다'란 의미로 전랑이라 불렀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6조 중 하나인 이조의 정랑과 좌랑을 일컫던 말이다. 비록 관직은 낮았지만, 이들만이 관리를 천거할 수 있어서 이조 판서도 이에 개입할 수 없었다. 또한 여론 기관인 3사의 관리 임명도 이들의 영향 아래 있었고, 자신의 후임을 추천할 수 있어서 그 권한이 매우 컸다.

    훈구를 물리치고 정권을 잡은 사림은 1575년(선조 8) 훈구파에 대한 처리를 놓고 두 파로 나뉘었는데, 양측은 서로 자기편의 인물을 이조 전랑에 임명하려 하였다. 이를 계기로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게 되었다. 조선 후기 붕당의 폐해를 막고자 탕평책을 추진하던 영조는 이조 전랑의 후임자 추천권을 폐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