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호아마2718
호아마271822.11.14

인플레이션이 좋은건지 안좋은건지 ?

인플레이션이 일어난다는 것은 고용률도 좋아지고 살만한 환경이라 물가가 오른다고 생각해서 좋다고도 생각되는데요.

또한 반대로보면 물가가 올라서 경제에 타격이 있어서 안좋다고도 하는데 경제적으로 더 좋은편인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굳이 이야기를 하자면 적당한 인플레수준은 질문자님께서 말씀주신대로 경제를 올리는 원동력이 될수 있으나 결국에는 인플레이션의 상승은 스노우볼처럼 한번 빠르게 상승하고 그 속도조절을 할 타이밍을 놓쳐버리게 된다면 베네수엘라와 같이 화폐의 가치가 0으로 되버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상황이 발생하면 국가의 화폐가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국가는 자국 화폐통화 발행을 통한 통화정책 수립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며, 타국의 화폐조절에 의해서 자국의 경제가 통제받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국가 자체가 다른 국가에게 의도적으로 흔들릴수 있는 상황발생 즉, 자주권까지 잃게 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니 인플레이션은 적당한 수준선에서 유지되도록 통화조절을 하는게 국가의 중요한 역할인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고 하지만, ‘물가가 몇 % 이상 상승할 때 인플레이션이다’라는 명확한 기준은 없습니다만, 최근의 물가상승현상은 그 정도치가 너무 심하여 강도높은 긴축정책이 수행되는 것입니다.

    KDI의 인플레이션 안내자료를 소개드립니다.

    https://eiec.kdi.re.kr/material/conceptList.do?depth01=00002000010000100010&idx=146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은 양면성이 있습니다.

    수요가 많아져서 물가가 오른 경우는 인플레이션의 정의 효과로 풀이되며 소득은 늘지 않는 상황에서 물가만 상승하게 되면 소비위축으로 경기침체가 유발되는 부의 효과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을 촉진하여 경제를 부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화폐의 구매력이 감소하게 되면 저축 성향 대비 소비 성향이 증가하게 되며, 이는 소비 및 경제 활동의 증가로 인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