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경제정책 이미지
경제정책경제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22.04.06

우리나라 실업률이 현실과 동떨어진 이유는?

우리나라 실업률이 현실을 반영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많다고 합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실업률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시고 왜 현실 반영이 잘안되는 지에 대한 이유도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규직 고용을 원하면서 임시직 또는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불완전 실업자의 경우, 사실 상 실업상태이지만 통계 상 취업자로 분류 되기 때문이며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나머지 시간의 대부분을 구직활동으로 보내더라도 통계 상 취업자로 분류)하고 가구원이 운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에서 수입을 위하여 주당 18시단 이상 일하는 무급의 가족종사자는 현재 구직활동을 하고 있더라도 취업자로 분류.구직활동을 포기한 실망 노동자는 실업자와 경제활동인구에서 제외되므로 통계 상 실업률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 안녕하세요. 이상훈 공인중개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는 실업률의 정의와 관계가 있습니다. 실업률이란 15세 이상 중

    일할 의사가 있어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이들을 말합니다.

    만약 일할 의사(능력)가 없다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됩니다

    이 차이에서 오는 괴리라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실업률 계산은 실업자수/경제활동인구 X 100 으로 계산하는데요

    취업률 실업률이 현실과 동떨어진 이유는 단기성 알바 같은 것도 취업률 실업률에 산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통계랑 현실이랑 너무 괴리감이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