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초는 어떻게 형광빛을 낼 수 있는 것일까요?
바다속의 산호초를 보면, 대부분 형광빛을 내는 것 같던데 어떻게 그 빛을 낼 수 있는 것일까요?
바다속을 촬영한 영상을 보다가 갑짜기 문뜩 궁금해지더라구요.
안녕하세요. 현명한뻐꾸기232입니다.
산호초는 형광단백질인 그린 플루오르 센티닐 프로테인 (GFP)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GFP는 자외선, 녹색, 파란색 등의 빛을 받아서 발광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GFP의 발광 현상은 분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산호초는 형광 녹색 혹은 빨강색 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GFP의 발견과 성질 이해는 생물학, 의학, 환경학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밝은펭귄185입니다.
산호초가 형광빛을 내는 이유는 그 안에 있는 발광단백질인 '플루오로포어' 때문입니다. 플루오로포어는 빛을 받으면 에너지를 흡수하고, 그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형광빛을 내게 됩니다. 이를 형광작용 혹은 형광현상이라고 합니다.
- 산호초는 형광 단백질이 있는 동물입니다. 이러한 형광 단백질은 녹조류, 산호 등과 상호작용하여 산호초가 빛나게 만들어줍니다.
산호초의 형광 단백질은 빛을 받으면 에너지를 흡수합니다. 이 에너지는 단백질 분자의 일부 전자를 산란시켜서 더 높은 에너지 상태로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산호초는 노란, 초록, 빨강 등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방출합니다.
이러한 형광 단백질의 작용으로, 산호초는 밤에 물속에서 형광 녹색 빛을 내며 빛납니다. 이러한 빛은 물 속에서 유지되는 시간이 길고 멀리서도 보이기 때문에, 해양 생물이나 잠자는 물고기들에게도 식별 및 소통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산호초의 빛은 극초점 현상을 일으켜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별빛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