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뉴스 보다가 지구가 온실효과가 탄소가 증가해서라고 알고 있는데요, 맞지 않나요?

그런데 그것 보다는 탄소의 순환?? 이 잘 안 되서 그런 것이라고 하는데요, 솔직히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요, 그냥 탄소가 적어지면 되는 것은 아닌가요 잘 몰라서.. 설명 부탁드릴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온실효과란 태양에서 지구로 들어오는 단파 복사 에너지는 대부분 지표면에서 흡수되어 다시 장파 복사로 방출되는 과정인데요, 이때 대기 중의 CO₂, CH₄, N₂O, 수증기 등의 온실가스가 일부 적외선을 흡수하고 재방출하여, 지표면 온도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합니다. 즉, 온실효과는 지구가 너무 차갑지 않게 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러한 온실가스의 증가인데요, 산업혁명 이후 화석연료 연소, 산업, 농업 등의 인간활동으로 CO₂, CH₄, N₂O 등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특히 CO₂ 농도는 약 280 ppm에서 현재 420 ppm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온실가스가 많아지면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이 더 많이 갇히게 되어 지구 평균기온이 상승하는데요, 이것이 우리가 뉴스에서 흔히 말하는 탄소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의 핵심입니다. 따라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 그 중에서도 탄소(CO₂)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 맞기 때문에 뉴스에서 말하는 내용은 기본적으로 옳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지구의 온실효과가 심해지는 근본 원인은 단순히 탄소 양이 많아지는 것만이 아니라, 탄소의 순환 균형이 깨지기 때문입니다.

    온실효과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등 온실가스가 지구에서 방출된 열을 일부 잡아 두어, 지구를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시켜주는 자연 현상입니다. 탄소(주로 CO₂)는 온실가스 중에서도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며, 예로 대기 중 CO₂가 적다면 지구는 너무 추워질 수 있습니다.

    원래 지구에는 탄소 순환, 즉 탄소가 대기-해양-토양-식물-동물 등 다양한 저장고를 오가며 자연스럽게 순환하는 시스템이 있습니다. 오랜 기간 대기-해양-토양 등의 균형이 유지될 때, 대기 중의 탄소 농도도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인간이 화석연료를 대량으로 연소하면서, 땅속에 아주 오랜 기간 축적되어 있던 막대한 양의 탄소가 한순간에 대기 중으로 쏟아져 나왔습니다. 동시에 삼림 파괴 등으로 식물은 줄었고, 해양의 탄소 흡수 능력도 제한되면서 자연적인 탄소 순환이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이 됐습니다.

    즉, 탄소의 순환 균형이 깨지고, 이에 따라 대기 중 CO₂가 계속 쌓이면서 온실효과가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입니다.

    1명 평가